세계화, 무엇이 문제일까?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1
최배근 지음 / 동아엠앤비 / 201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청소년이 꼭 읽어야할, 사회교양 시리즈 ①로 동아엠앤비​에서 출간된 책이다.  단순히 책 제목만을 본다면 세계화에 무슨 문제가 있다는 거지?라는 의구심이 들지만, 책을 읽어 나갈수록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고, 무엇보다 작은 나라에 살고 있는 내가, 아니 우리 아이들이 살아 갈 세상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작가가 이야기 하는 세계화의 시작은 유럽 사람들의 신항로 개척에 의해서이다. 본격화 된 것은 19세기 말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를 식민지로 삼으면서 싼 원료공급과 판매처로 만들면서 모든 기준은 유럽사람들에 맞춰 진행되었다.  또한'세계화'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냉전 종식이 요란하게 선언된 후 냉전 승리 세력의 세계 독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미국 주도의 세계 독점 표어인 '글로벌'화(globalization)로, 우리나라는 김영삼 정부에서 '세계화(Segyehwa)'로 나타나며 개방과 자유화등은 만병통치약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 결과로 세계화는 서로를 연결시키는 그물망을 만들어, 한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이 전 세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세계화를 중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은 미국 등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일방적으로 영향력을 행사 했지만, 오늘날은 쌍방향으로 작용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따라서 작가는 세계화의 올바른 성장을 위하여 개발 국가 내부적으로는 민주주의를 강화시키고, 신흥국가들이 글고벌 경제 정부 핵심에 진입하고, 초국가 단위에서의 국가 간 협력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경고한다. 또한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 및 기술 간 협력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세계화에 대비하는 일이라고 알려 주고 있다.

   서양인의 관점에서 진행되어 온 세계화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이 시점에서 우리의 청소년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려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