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2년에 인기있었던 책을 이제야 봤다.
그 땐 그렇게 피로하지 않았으니까.

근대이전은 타국, 타민족, 타생물의 위협에 대한 배타성이 행동양식의 주가 되는 면역학적 시대였다면, 후기근대는 면역학적 시대를 벗어나 긍정과잉상태의 성과주의 시대로 전환되었다는게 책의 중심 주제다.

강압과 공포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를 맞았고, 자본주의는 생산성의 도약을 위해 성과주의로 전략을 변경했다는 것이다.
"무엇이든 할 수 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는 사람들을 스스로 채찍질하고 착취하게 만들었고, 남이 아닌 자기자신에게 브레이크 없이 착취당하는 개인은 결국 소진되어 우울증이나 번아웃 같은 신경적 질병에 시달리게 된다는 진단이다.

회사를 다니며 이 책을 읽으니 크게 공감이 됐다.
난 우리 회사가 스스로 알아서 열심히 하는 사람들을 참 잘 찾아서 뽑는다고 종종 말하곤 했다.
연초에 성과지표가 정해지면 누가 시키지않아도 일을 잘 마무리하고 좋은 성과를 내기위해 야근도 알아서 하고, 출근도 알아서 일찍하는 동료들을 보면서 했던 생각이다.

회사 뿐만인가 회사가 끝나고도 끊임없이 운동, 취미활동들을 하면서 알아서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그것이 여가라고 생각하는 것 또한 착각이며, 그러한 활동과잉은 멈춰서 사유하고, 자유로운 행동을 할 여지조차 박탈당한 현대인들의 모습이라고 한다.

다 나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다.
잠시라도 뭔가를 하지않으면 불안하고, 사회적 기준의 갓생을 위해 노력한다.
그나마 현대인 평균에 비해 많이 걷는 편이긴하지만, 걷는 와중에도 계속 팟캐스트를 듣거나 예능을 보면서 잠시도 쉬지 않는다.

멈추고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이 되고싶지만 쉽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