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버스 융합과학 16 : 무척추동물(바다) - 학교 공부 꽉 잡는 공부툰, 소년 한국 좋은 어린이 책 스토리버스 융합과학 16
유기영 외 지음, 서인순 감수 / 스토리버스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울아이가 방학동안 즐겨읽었던 스토리버스랍니다..

이번엔 융합과학 무척추동물(바다)편을 살펴보았어요..

 

 

물에 사는 동물들 중에서는 척추뼈와 뼈대가 없는 무척추동물이 참 많아요.

무척추동물은 전체 동물의 97%를 차지할 정도로 많고 종류도 다양해요.

바닷속을 자유롭게 헤엄쳐 다니는 오징어는 무척추동물 가운데 연체동물에 속하고

오징어는 머리와 몸통 사이에 다리가 있어 두족류라고도 불러요.

 

 

 

해파리는 뇌가 없고, 눈이나 코도 없지만 동물이래요.

촉수에 독침이 박힌 자포가 있어 '자포동물'이라고도 해요.

요즘은 기후 변화 때문에 우리나라의 바닷가에

해파리 떼가 나타나는 횟수가 늘어나고 있다니 해파리를 발견해도

멀리서만 구경하고 가까이 가진 않도록...해야할듯..

 

 

 

 

바닷속의 보석 산호..는 마치 식물이나 바위처럼 보이는데 사실 동물이래요.

산호충이라는 작은 생물이 모인 군체로 '자포동물'로 분류되고,

피부에 돌기와 가시가 난 동물은 '극피동물'이라고 하는데 불가사리가 대표적이네요.

불가사리의 왕성한 식욕으로 조개나 갑각류 등을 잡아먹어서 최근에는 열대 산호초

지대를 파괴하는 주범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네요..

 

게는 몸이 단단한 껍데기로 되어 있어 '갑각류'라고 하고 갑각류에 속하는 동물로는

가재나 새우가 있는데 게와 가재, 새우 모두 다리가 마디로 되어있는 절지동물이래요.

 

 

8개의 소주제를 8가지 캐릭터가 각각 펼쳐 내는 옴니버스 구성의 학습만화부분을 통해서

호기심 해결 및 교과 연계 학습까지 가능하다죠..

캐릭터들의 대화를 통해 무척추동물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답니다.

 

 

 

만화로 학습한 부분을 학습정보 부분을 통해 풍부한 사진과 그림으로

오래 기억되게 또한번 다뤄준답니다.

과학,사회,국어,음악, 미술 등 융합형 구성으로 창의력까지 키워준답니다.

 

 

오징어와 문어, 낙지의 생김새를 찬찬히 살펴보면 다리 위에 머리가 있고,

머리 위에 몸통이 있죠..

이렇게 머리에 다리가 붙은 연체동물을 '두족류'라고 불러요.

오징어와 문어는 적이 오면 먹물을 뿌리고 도망가는데

오징어의 먹물은 덩어리가져서 다른 생물이 있는 것으로 적이 착각하게 만들지만

문어의 먹물은 넓게 퍼져서 적을 눈앞을 가린다네요..

 

 

 

조개는 석회질로 된 두 장의 단단한 껍데기 안에 부드러운 속살이 있고,

몸이 옆으로 납작하고 발은 도끼 모양이라 '부족류'라고 한데요.

 

나무가 나이테로 나이를 알 수 있듯이 조개도 나이테가 있어서 나이를 알 수 있다는...

조개 껍데기에 난 굵은 선의 개수를 세어 보면 된다네요..

또 물이 깨끗한 곳의 조개는 껍데기의 굵은 선이 촘촘하지만 수질이 좋지

않은 곳의 조개는 간격이 듬성듬성하데요...

 

 

이제껏 홍합으로 알고 먹었던게 지중해담치였네요..

홍합은 조갯살이 붉어서 붙은 이름으로 우리나라 토종 조개로

 물 흐름이 세고 맑은 바다에 살아요..

 

 

고둥은 껍데기가 하나인 연체동물이고, 배에 발이 붙어 있다고 '복족류'라고 해요.

 

예전에 고둥을 보며 딱딱한 껍질이 막혀있는걸 본적이 있는데

그것이 뚜껑이였네요.. 위험을 느끼면 온몸을 껍데기에 집어넣고

뚜껑을 끌어당겨 입구를 닫아버린다니..

엄청 딱딱해서 열지 못했던 기억이 나네요.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고둥중 나팔고둥은 약 30cm까지 자라는

큰 고둥으로 바다 생태계를 파괴하는 불가사리를 잡아먹어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있다는데..

 

 

나팔고둥은 불가사리의 천적으로 바다 생태계에 유익한 동물이지만

껍데기가 아름다워 사람들이 마구잡이로 포획하는 바람에

지금은 멸종위기종이 되었어요..

옛날에는 껍데기에 구멍을 뚫어 나팔로 사용을 했네요.

 

 

요즘 바닷가에 해파리가 많아져서 여름철에 바닷가 가기가 겁나더라구요.

해파리는 헤엄을 잘 못치지만 독침이 있는 자세포가 발달되었고

적의 눈에 잘 안 띄기 위해 몸이 투명한거라네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름달물해파리는 맹독성은 아니지만

떼로 몰려다니며 어망을 망가뜨리고, 발전수 냉각수 파이프에 달라붙어

가동을 멈추게하는 말썽꾸러기라네요.

 

 

그림같은 풍경 산호도 동물이였네요..

보기엔 정말 예쁜데 산호초는 산호와 죽은 산호가 모여 이룬 암초라는....

주로 열대 바다에 생기는데 산호가 햇볕이 잘 들고 따뜻하 바다를 좋아하기 때문이래요.

 

산호는 낮에는 꽃잎 같은 촉수를 오므리고 있다가 밤이 되면 먹이 사냥을 해요.

촉수를 활짝 펼치고 기다리다가 먹이가 가까이 오면 독침을 쏘아 마비시킨다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배리어리프는 아름답기로 손꼽히는 산호초로,

길이가 약2,000km 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산호초 지대다.

주로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데 아름다운 석호와 수많은 산호초 섬이 곳곳에

흩어져 있고, 평평한 모양, 기다란 모양, 동그란 모양 등 산호초의 모양도 가지가지..

 

 

 

 

바다의 별 불가사리가 바다의 깡패라니...

불가사리는 조개와 갑각류, 물고기 등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워 미움을 받고있네요..

하지만 모든 불가사리가 그런건 아니래요.

별불가사리는 팔이 짧고 움직임이 둔해서 살아 있는 먹잇감을 잘 못잡아 죽은 물고기나

썩어 가는 조개를 주로 먹어서 바다를 깨끗하게 해 주는 동물이네요...

 

 

불가사리, 성게, 해삼의 공통점은

모든 피부 표면에 단단한 가시나 돌기가 나있어 '극피동물'이라고 하네요.

 

 

 

게나 가재, 새우는 몸이 단단한 껍데기로 싸여 있어서 '갑각류'라고 하는데

갑각류는 대개 허물을 벗으면서 자라는데 이것은 몸이 자라도

껍데기가 자라지 않기 때문이래요..

전 가재가 허물을 벗는 모습은 처음 보았어요..

왜 허물을 벗을 거란 생각을 해 보지 않았을까요...

 

스토리버스책을 보며 아...그렇구나...그럴수도 있겠네...그렇네...라는 생각을

많이 하며 읽어보았어요..

 

 

스토리버스는 시간이 지나도 아이들이 즐겨보는 책이예요..

울아인 봐도봐도 잼있다며...질리지 않는책이라고 하더라구요..

울아이 친구들이 집에 와서도 제일 즐겨보는 책...

엄마에게 사달라고 조르는 책...

그책이 바로 스토리버스랍니다.

초등6학년이 될때까지도 볼 수 있는 책이라 더 좋은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