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손에 쥐게 된 것은 알렉상드르 뒤마 라는 작가 때문이었다.

내가 어렸을 때 읽었던 그 유명한 소설 '삼총사'와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자이기 때문이다.

그의 글로 읽는 소설 속에서 나는 낯선 나라 프랑스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느끼기도 했다.


그의 소설인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이라는 작품을 통해 뒤마의 뛰어난 글 솜씨에

다시 심취할 수 있어다.

그의 작품인 삼총사에서도 보여졌던 궁중 권력쟁취를 위한 지략과 암투가

이 책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난다.

인물들간의 심리묘사에 탁원하고 추리소설 같은 전개가 21세기에 읽어도

전혀 촌스럽지 않다.


이 책의 내용은 구교과 신교의 종파간의 대립이 극심했던 시기의 이야기이다.

구교인 카톨릭의 대표인 프랑스 국왕 샤를르 9세의 동생인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는

뛰어난 지성과 아름다움을 가진 여인이다. 그녀는 프랑스 종교의 화합을 꾀하던 프랑스 왕가에 의해

신교도의 대표인 앙리 드 나바르 왕과 결혼식을 올리게 된다.


두 종파간의 화합이라는 겉 모습과는 달리 그 내막은 신교도를 말살 시키고자 하는

마르그리트의 모후인 카트린느 메디치의 음모가 숨겨져 있다.

이 책은 궁중에서 펼쳐지는 음모와 사랑, 난무하는 계략과 동지애등이 흥미롭게 전개되며

독자의 흥미와 궁금증을 유발시키며 다음 페이지로 서둘러 넘어가게 만든다


350여 페이지에 달하는 다소 긴 내용에, 낯선 나라 프랑스의 역사적인 배경을

소설의 무대로 삼고 있지만 지루하지 않았던 것은 뒤마의 글 솜씨도 한 몫했지만

소설의 구성이 마치 잘 짜여진 추리소설 같은 전개가 신선함을 주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다소 등장 인물들의 이름들이 낯설어 기억하기가 나에게 조금 버거웠지만

이 또한 즐거움으로 여기며 페이지를 넘겨가는 재미또한 솔솔했다.


한국의 역사 대하드라마를 들여다 보더라고

권력을 쥐기위한 세력간들의 음모와 모반이 항상 있어왔던 점을 생각해보면

시대와 나라를 넘어서 어느 나라에서도 공통점이 있기 마련인지라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한편의 기나긴 대하 드라마를 보는 듯했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을 좋아하기 때문인지

재미있게 읽은 소설이기도 하다.

19세기 프랑스의 극작가이자 소설가인 뒤마의 작품을 접할 수 있었던

즐거움까지 더해져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대작을 만난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