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은 긍정적인 정서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이다!
Happiness is the frequency, Not the Intensity of positive affect.
p.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38
외향성이 높은 사람의 특성은 무엇일까?
대표적으로 사람을 찾고, 그들과 절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외향성이 높을수록 자극을 추구하고, 자기 확신이 높고, 처벌을 피하는 것보다는 보상이나 즐거움을 늘리는 데 초점을 둔다.
p.141
외향성이 행복과 깊이 연관된 이유는 사회성이라는 즙 때문이다. 사회적 경험이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식물에 있어 광학성만큼이나 중요하다.
p.142
내향적인 사람들도 혼자일 때보다 누군가와 함께 있을때 더 높은 행복감을 느꼈다.
p.145
행복한 사람들은 많은 시간을 다른 사람들과 보낸다. 또 하나의 중요한 특성은 자신의 자원을 사람과 관련된 것에 많이 쓴다는 점이다.
행복한 이들은 공연이나 여행 같은 경험을 사기 위한 지출이 많고 불행한 이들은 옷이나 물건 같은 물질 구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경험 구매가 물지 구매보다 행복한 본질적 이유는 또다시 사람 때문이다.
p.147
돈을 자신이 아닌 남을 위해 쓸 때 더 행복해진다는 연구들도 나오고 있다. 왜 친사회적인 행보로 혹은 행복감을 유발할까? 한 가지 가능성은 남에게 도움을 줄 때 즉각적인 보상이 필요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것이 즐거움일 수 있다.
p.148
결국 진화과정에서 도움을 줄 때 기쁨을 느꼈던 자들이 선택적으로 더 많이 생존하게 되고 그들의 유전자를 통해 우리는이 습성을 물려받은 것은 아닐지.
p.150
외향성은 일종의 사회성 위도이다. 이 값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 양과 질이 높고 바로이 점이 행복의 절대적 기여를 한다. 사회적 경험은 개인이 가진 선천적 기질과 무관하게 행복과 관련이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p.151
사회적 경험은 왜 이토록 중요한 행복의 조건일까? 이렇게 보면 행복은 타인과 교류할 때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일종의 부산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chapter8.한국인의 행복
p.156
개인의 행복 수준은 외향성 같은 성격 특성과 깊은 관련이 있지만 보다 살고 있는 문화도 추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개인의 가치와 감정을 최대한 존중하고 수용하는 문화.
p.160
학자들이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하는 개념 중 하나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다 행복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문화적 특성은 개인주의다.
p.162.3
개인주의의 문화에 어떤 점이 개인의 행복 성취를 유리하게 만드는 것일까 역으로 집단주의이 문화의 부족한 점은 무엇일까 우선 심리적 자유입니다. 그것은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내 인생을 내 마음대로 사는 것이다. 이런 삶을 보편적으로 지지해주는 문화가 있고 이렇게 살기 위해 세상과 문을 닫고 기인이 되어야 하는 문화도 있다. 나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민감해질 수밖에 없고 이렇듯 타인 중심적인 생각은 행복 성취에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p.164
사람 가장 절대적인 행복의 원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불행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p.167
사회의 일원으로 살며 타인의 평가와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는 자세는 필요하다. 하지만 그것이 내 인생의 유일한 나침판이 되면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p.170
행복은 어떤 잣대를 가지고 옳고 그름을 판단할 필요도 없고 누구와 우위를 매길 수도 없는 지극히 사적인 경험이 행복이다.
p.174.5
과물치주의와 행복간의 마찰은 왜 일어날까? 호모사피엔스에게 다른 사람이 그토록 중요했던 이유는 생존과정에서 타인의 보호와 도움이 필요한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즉 타인은 나의 불충분함을 메워주는 절대적 존재였다. 하지만 약 3000년 전 인류가 돈이라는 것을 만들어내면서부터 인간의 나약함을 보완해줄 수 있는 수단이 하나 더 생겨났다.
괌 물질주의는 행복의 치명적인 결과를 준다. 행복 전구를 가장 확실하게 켜주는 것이 사람이라고 했다. 하지만 행복해지기 위해 돈에 집착할수록 정작 행복의 원천이 되는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는 모순이 발생한다.
p.177
행복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만나는 사람들보다 만나고 싶어서 만나는 사람들이 많아야 한다.
p.179
행복한 문화에 사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과 선택의 당당함과 자신감이 넘친다. 인생의 주도권을 자기가 가지고 쥐고 사는 것이다.

chapter.9
오컴의 날로 행복을 베다.


chapter7.‘사람쟁이‘성격
p.136
이렇게 유전적 영향을 받는 무수한 특성 중 행복과 특히 연관성 높은 것이 있다.
p.138
유전적 영향에 의해 외향성 수치는 어느 정도 정해지며, 그 외향성의 정도가 개인의 행복수치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윌라로 듣는 파친코 goo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apter7. ‘사람쟁이 성격‘
행복=유전
p.137
유전적 영향을 받는 무수한 특성중 행복과 특히 연관성 높은 것이 있다. ‘외향성‘
p.138
유전적 영향에 의해 외향성 수치는 어느 정도 정해지며, 그 외향성 정도가 개인의 행복수치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apter6.행복은 아이스크림이다.
p.104
외적 조건에 과도한 기대와 투자를 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그래도 더 필요해˝라고 고집부리는 것은 기회비용차원에서 본다면 자기 삶에 큰 손실을 입히는 것이다. 이 믿음은 행복을 위해 정작 투자해야 할 곳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든다.
p.106
‘이스털린의 역설‘ 부유해질수록 돈으로 행복을 사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p.108
스칸디나비아 행복의 원동력은 넘치는 자유, 타인에ㅈ대한 시뢰, 다양한 재능과 관심에 대한 존중이다. 그들 사회는 돈이나 지위 같은 삶의 외형보다 자신에게 중요한 일상의 즐거움과 의미에 더 관심을 두고 사는곳이다. 일상의 작은 경험의 가치를 아는 나라의 상징적인 모습이다.
p.109
극단적인 경험을 한 번 겪으면, 감정이 반응하는 기준선이 변해 그 후 어지간한 일에는 감흥을 느끼지 못한다.
p.110
☆지금까지의 연구자료들을 보면 행복한 사람들은 이런 ‘시시한‘ 즐거움을 여러 모양으로 자주 느끼는 사람들이다.
p.114
☆객관적으로 얼마나 많이 가졌느냐보다 이미 가진것을 얼마나 좋아하느냐가 행복과 더 깊은 관련이 있다.
사람들은 인생의 좋은 것들을 많이 소유하는 것이 행복의 전제 조건이라고 믿는다.
p.118
미래를 과도하게 염려하고 또 기대하는 것이 우리 모습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재를 즐기지 못하고 산다.
이렇게 becomming 에 눈을 두고 살지만. 정작 행복이 담겨 있는 곳은 being이다.
p122
모든 쾌락은 곧 소멸되기때문에, 한번의 커다란 기쁨보다 작은 기쁨을 여러번 느끼는 것이 절대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