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 뮤지컬 <붉은 정원> 원작 소설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46
이반 투르게네프 지음, 김학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고전을 읽어야 한다, 읽어야 해라고 생각을 되뇌여봐도 결국 고전은 왜인지 모르게 손이 잘 안가는 책이다. 큰 맘 먹고 내가 이 책을 독파하겠어, 해석하겠어라는 의지를 가지고 손을 뻗어야 겨우 읽게 된달까? 그래도 투르게네프의 [첫사랑]은 제목부터 어느 나라 사람이든, 어느 시대를 살았든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여서 그런지 다른 고전들보다는 쉽게 읽혔다. 뮤지컬 붉은정원 원작소설이라고 해서 읽게 됐다. 많은 고전이 뮤지컬화됐지만 붉은정원은 처음 들어봤다. (붉은노을만 알았지 원)



섬세한 여성 심리 묘사가 되어있다길래 작가가 누군지 확인도 안하고 단순히 여성작가의 작품일 거라 생각하고 읽었다. 작가는 16살 소년의 첫사랑에 대한 감정 묘사를 탁월하게 표현하고 있다. 자전적 색채가 강한 소설이라고 하니 투르게네프의 어렸을 적 첫사랑이 이랬겠구나싶어 작가의 풋풋한 첫사랑 이야기를 훔쳐보는 느낌도 든다. [투르게네프의 첫사랑]은 16살의 소년이 4-5살 연상의 여인을 좋아하는 이야기인데 이 여성캐릭터가 생각보다 재밌다.(궁금하면 읽어보기)


아무리 모태솔로여도 살면서 첫사랑 없는 사람이 있을까, 첫사랑은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이렇게 첫사랑에 대해 애틋하고 아련한 감정을 갖는 이유는 뭘까. 난 '처음'이라는 의미부여, 그 때의 순수했던 자신의 모습 그리고 기억의 왜곡이라고 생각한다. [첫사랑] 소설 읽은 사람치고 너무 시니컬한 대답인가 싶지만 그 첫사랑을 애틋하고 아련하게 기억하는 '나'에 꽂혀있는 게 아닌가 하는게 요즘 나의 생각이다. 뭐 생각은 언제든 바뀔 수 있으니. 일단 오늘은 시니컬한 걸로??


작품해설이 맨 뒤에 짧게 달려있다. 난 책 표지부터 작가소개, 프롤로그, 본문, 해설 이런 식으로 그냥 순서대로 읽는 타입이다. 시간이 없거나 앞부분 조금 읽다가 정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는 고전을 읽을 땐 맨 뒤의 작품해설부터 보는 걸 추천한다. 투르게네프의 첫사랑은 어려운 고전이 아니라서 그냥 나중에 읽는 것 추천!

아 오늘 첫사랑 책 들고 지하철 타려다가 이 한 권이 뭐가 무겁다고 가방에 넣기가 너무 싫었다. 진짜 전자책은 눈만 안아프게 적당히 보면 유용한 시스템인듯.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