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멘사 수학 퍼즐 프리미어 - IQ 148을 위한 ㅣ IQ 148을 위한 멘사 퍼즐
피터 그라바추크 지음, 제효영 옮김 / 보누스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수학을 못한다. 사실 안해서 못하는 것이긴 하지만 수학에 손이 가지 않는다. 아마 재미를 붙이면 달라지겠지만 ..... 일부러 멘사 수학
퍼즐을 풀어보고 싶었다. 도대체 어떤 것들이 있을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수학적 사고가 없는 내가 과연 얼마나 풀 수 있을지 이것이
궁금했다.
처음엔 비교적 쉬운 문제여서 그런지 어렵지 않게 풀었다. 물론 쉽게 푼 것은 없다. 어린 시절에는 퍼즐 푸는 것을 좋아했다. 좋아했으니 곧
잘 풀기도 했다. 고등학교 이후로 나의 관심은 문학이었다. 수학은 그저 대학을 위해서 어쩔 수 없이 공부해야 하는 하나의 과목 그 이상은
아니었다. 그래서일까? 수학은 관심이 없었다.
대학에 들어간 이후엔 간단한 계산 말고는 수학을 쓸 때가 없었고 굳이 수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것 역시 없으니 아마 이런 쪽으로는 급격하게
쇠퇴했을 것이다. 그나마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책을 통해서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통해 수학이란 것도 이런 오묘한 맛이 있구나 느꼈다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통해서는 수학자들의 삶과 고뇌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결국 수학자 역시 우리와 같은 사람이란 걸 느끼게 되었다. 파인만의
발견하는 즐거움을 통해서는 과학을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졌다. 이렇게 수학과 과학에도 조금씩 흥미를 느끼지만 여전히 문학도인 내게
자연과학 분야는 넘지 못할 벽이다.
책은 순전히 퍼즐과 답으로만 되어 있다. 그래서 약간 당혹스럽다. 어느 정도 설명도 되어 있겠거니 싶었는데 말이다. 책에는 IQ148을
위한 이라고 소개되어 있지만 사실 아이큐란 것이 우리 지능을 다 알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여전히 뇌과학에서 풀어내지 못한 것이 많기에 여기에
현혹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저 퍼즐을 즐기기만 하면 된다. 문제를 풀지 못했다고 해서 기죽을 것도 없이 말이다.
가끔은 아주 가끔은 이런 퍼즐을 풀어가면서 평소 사용하지 않는 두뇌를 연습할 필요가 있다. 평소 읽는 책하고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지만
문제 하나 하나 흥미롭게 풀어갔다. 물론 뒷부분으로 갈수록 문제의 난이도가 높아져 정말 수학적 사고가 뛰어난 사람이 아니고선 풀지 못할 것이다.
사실 나 역시 뒷 문제는 거의 풀지 못했다. 그래도 이런 문제를 풀면서 그동안 연습하지 않는 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즐거웠다. 풀면
푸는대로 못풀면 못푸는대로 흥미로운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