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없으면 내가 없습니다 - 정호승의 새벽편지
정호승 지음, 박항률 그림 / 해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호승 하면 떠오르는 건 희망의 전령사란 것이다. 그의 시 봄길에서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라고 노래한 것처럼 절망 속에서도 새로운 삶의 희망을 안겨다 준다. 때론 아예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되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정호승의 당신이 없으면 내가 없습니다란 책을 읽으며 역시나 '정호승은 희망을 이야기 하고 있구나' 생각했다. 그는 절대로 값싼 희망에 대해서만 이야기하지 않는다. 인생이란 자체가 굴곡이 있음을 말한다. 때론 안개가 가득한 날도 있고 때론 태풍이 몰아치는 날도 있다. 물론 환한 태양이 비추어주는 날도 있다. 이런 인생의 날들 속에서 여러 사물과 사람 그리고 자연을 보며 사색에 잠긴다.

 

"풀잎을 보라. 풀잎은 태풍에 쓰러지지 않는다. 풀잎은 태풍이 불어오면 일단 몸을 굽히고 삶의 자세를 겸손의 자세로 바꾼다. 풀잎이 빳빳하게 고개를 쳐들고 태풍과 맞서는 경우는 없다. 행여 쓰러진 풀잎이 있다 하더라도 태풍이 지나간 뒤에는 대부분 스스로 일어나 하늘을 본다. 그러나 나무는 한번 쓰러지면 누가 일으켜 세우지 않는 한 스스로 일어나지 못한다."

 

책을 읽으면서 정채봉에 대한 회상을 할 땐 너무 일찍 가버린 작가에 대한 아쉬움을 함께 느꼈고 검정 고무신 신어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기는 처음이었다. 하지만 뭐니뭐니 해도 실패 기념일을 만들어 보란 이야기엔 의미가 남다르게 느껴졌다. 물론 실패가 우리를 성장하게 만드는 중요한 것이긴 해도 우리가 사실 실패란 별로 기억하고 싶지 않은 일이고 어쩐지 피하고만 싶어지는 것이다. 그런 실패를 기념을 하여 두 번 실패를 반복하지 않게 하는 것이야 말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학교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덧붙여 기념하지 않은 실패는 실패가 아니라고 이야기를 한다.

 

우리 사회는 아프다. 사회가 아픈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아프다. 이런 아픔의 시대에 아픔을 정면으로 맞서 싸울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서로 함께 손을 잡아주며 끌어준다면 별로 힘들이지 않고서 아픔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아픔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관계다. 함께 할 수 있다면 아픔도 극복해 나갈 수 있다. 책의 제목처럼 당신이 없으면 내가 없는 이유가 바로 이런 것이다. 그만큼 당신과 내가 함께 좋은 화음을 이루어 아픔과 기쁨도 함께 나눌 수 있는 그런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