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를 읽다, 마음을 읽다 - 뇌과학과 정신의학으로 치유하는 고장 난 마음의 문제들 서가명강 시리즈 21
권준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우주란 무엇이 있을까 궁금했다. 은하철도 같은 것이 있을까 싶기도 했다. 나이가 들면서 우주에는 아직도 인류가 밝히지 못한 많은 미스터리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우리 몸도 과학이 밝히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았다. 더구나 사람의 뇌가 소우주라고 할 정도로 신비로움 그 자체란 사실도 알게 되었다. 

 

서울대 서가명강 시리즈 중 권준수 교수의 뇌를 읽다 마음을 읽다란 책을 읽었다. 저자가 들어가는 글에서 언급한 내용이 바로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이다. 바둑을 잘 모르지만 그래도 이세돌이 이길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결과는 이세돌이 졌다. 이것이 생각보다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도대체 인공지능이란 것이 무엇일까? 하면서 말이다. 

 

여기서 저자는 직감을 이야기하며 인간의 뇌는 끝없이 자극을 받아들인다고 한다. 그리고 이 자극을 저장해 두어야 하는데 뇌의 피질에는 한계가 있기에 일부만 남기고 피질하 구조로 내려보낸다고 한다. 이런 작업이 반복되면서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사이 피질하 구조에는 이런 것이 쌓인다고 한다. 정보들은 이런 저런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자극이 주어지면 연결되어 있는 여러 정보가 동시에 자극이 되어 짧은 시간 안에 패턴을 만들어 직감을 형성한다고 한다. 

 

일시적으로 사라진 것 같은 정보들은 결국 남아 있다고 보아도 될 듯 하다. 하지만 새로운 자극을 주며 조금 더 건강하게 뇌를 보살필 필요도 있을 것이다. 행복한 마음은 결국 뇌에서부터 온다는 것 그리고 뇌란 충분한 수면과 적당한 운동 그리고 햇빛이 필요하다. 끝없이 움직이는 것 같지만 한 편으로는 쉼도 필요한 것이 뇌다. 

 

일상의 삶이 분주하다. 시간이 참 빠르게 지나간다고 느낀다. 이런 삶일 수록 뇌는 더욱 휴식이 필요할지 모른다. 어쩌면 쉬지 않고 움직여야만 하는 시대에서 잠시 동안 멍 때리기를 할 수 있는 여유를 찾지 못한다면 우리의 마음은 서서히 고장나고 말 것이다. 일부러라도 웃기를 연습하고 앉아 있기 보다는 운동으로 몸을 움직이며 한 번씩 자연을 벗 삼아 멍 때려 보기도 하며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풀어보도록 노력해야 행복이란 것이 가까이 오리라 생각한다. 작은 책이지만 아주 알찬 내용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