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돼지 궁전 ㅣ 리리 이야기 1
이형진 글.그림 / 시공주니어 / 2011년 8월
평점 :

화법이 인상적인 리리시리즈의 "돼지궁전" 국내 작가 "이형진" 님의 작품이다.
요 전에 "작은 씨" 라는 책도 아이와 함께 보았는데 그림이 참 인상깊었던 기억이 난다.
알고보니 같은 작가의 그림책이다.
우리나라 작가의 그림책들을 보면서 개성있는 그림들이 왜 없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해왔다.
왜 존 버닝햄이나, 윌리엄 스타이그, 레오 리오니 같이 한 눈에 척 알아볼 수 있는 그림책들이
많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번 "돼지 궁전"의 이형진 작가의 그림이 나의 이런
바램에 부응하는 책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판화로 찍어 낸 듯한 화법.....강렬한 색채를 쓴 일러스트는 정말 인상적인듯 하다.
그림마다 결을 살린 표현이 정말 많이 공을 들였을 것 같은 생각을 하게 한다.
"돼지 궁전"은 강렬한 색채 만큼이나 다루고 있는 주제도 무겁다.
아이랑 여러 단행본들을 많이 읽어 본 결과.....담고 있는 주제가 무겁고, 뭔가 깨달음을
주는 듯한 뉘앙스가 풍기면 책을 읽은 엄마의 반응은 좋지만 아이의 반응은 별로 였던거 같다.
이제 다섯살 인 딸 아이는 책은 깊은 내용까지 이해하기엔 아직 넘 어린듯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번 "돼지 궁전" 책은 캐릭터가 돼지여서 그런지 아이가 관심있게 보고,
주인공 리리의 행동에 대해 궁금해하는것도 많고, 어른들의 행동에 대해서도
"왜" 그런지 물음을 계속 던지고 있다.
처음 아빠랑 책을 읽었는데 아빠가 마지막 부분에서 친구 할머니인 "선녀할머니"의 행동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얘기하자 아이 역시 엄마에게 질문을 해 온다.
아이와도 읽어보고, 혼자서도 읽어봤지만 책이 전달하려고 하는 메세지가 처음엔 와 닿지 않았었다.
내가 이해력이 달려서인지 몰라도 뭔가 잡힐듯 하면서도 정확하게 작가가 전달하려고 하는 메세지가 뭔지
정답처럼 내 놓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결국 인터넷 서점에서 출판사 서평 코너를 꼼꼼히 읽어보게 되었다.
책을 읽고 꼭 뭔가 깨달아야 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작가의 의도가 뭔지를 알게 된다면 책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든다.
"돼지 궁전"은 우리의 관심에서 벗어난 결손가정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해마다 결손가정 아이들이 많아진다는것은 뉴스로 많이 접해서 알고 있는 바지만
이런 주제를 아이들 책에서는 좀 처럼 만날 수 없었던 거 같다.
그 만큼 우리의 관심에서 많이 벗어나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그런 점에서 우리 사회의 소외된 계층에 대해 다루고 있는 이 책이 고맙게 느껴지기도 한다.

어느 날 리리는 엄마에게 버려지고 외할머니 집으로 오게 된다.
그런 리리는 동네 어른들에 의해 "골칫덩이" 라는 꼬리표를 달게 된다.
어른들이 무심코 던진 "골칫덩이" 란 말 한마디에 리리는 자기의 본질은 왜곡되고
나쁜 아이로 낙인 찍히는 기분이 들었을 것 같다.
아이는 책을 읽다가 "리리는 엄마가 버리고 간 거야?" 란 질문을 계속 했다.
이 질문에 대해 책에 있는 그대로 알려주어야 할지, 아님 순화시켜서 얘기를 해줘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넘 어린 나이에 부모에게 버림받는 상처를 알게 되면 내 아이 역시 자기도 그런 순간을
겪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미리 해버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난 그냥 먼곳으로 여행 갔다고 얘기해주었다. 언젠간 리리를 만나러 올거라고 얘기해주고.
골칫덩이란 꼬리표를 달고나서 리리는 창피함을 알았다.
길을 걸을 때도 고개를 푹 숙이고 할머니 곁에 딱 붙어서 걷는다.
어른들의 말 한마디에 리리는 자존감이 낮은 아이가 된 것이다.
요즘 엄마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아이의 자존감,
자신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고, 자신을 끊임없이 격려하며 발전시키려는 자기 존중의 자세...
이것이 자존감인데 리리는 자신이 골칫덩이란 말을 듣고 나서 자기 자신에 대해 부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그런 리리가 참 안쓰러워 보인다.

할머니와 함께 문방구에 갔다가 할머니의 권유로 공주가면을 사게 된 리리.
공주가면을 받아들고 부터 리리는 가면 속에 자신의 모습을 감추려고 한다.
가면으로 보이는 얼굴은 늘 밝은 모습이다.
이 가면을 쓰면 골칫덩이 자신도 감출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가면 안의 진짜 리리의 모습은 겁도 나고 한숨도 쉬는 그런 아이다.

가면을 쓰고 놀러간 친구네 집....
화려하고 멋진 궁전같은 곳이다.
그 곳엔 가면 쓴 자신을 반겨주는 맘씨 좋은 친구의 할머니(선녀할머니)도 있었다.
허나 그건 자신을 손녀딸로 오해한 할머니의 위선적인 행동이었을 뿐
리리가 손녀딸이 아닌걸 알자 할머니의 태도는 돌변한다.
거기에 또 마음의 상처를 입은 리리...그리고 집으로 도망쳐 온다.
가면을 쓰면 자신의 모습이 감춰져서 상처도 안 받을 줄 알았는데 리리는 또 한 번의 상처를 입게 된 것이다.
가면 뒤에 자신의 본 모습을 숨기려고 한 리리.
그게 뜻대로 되지 않자 자신을 비아냥거리기도 한다.

리리의 외할머니의 집에 놀러온 선녀할머니.
리리가 자신의 집에 놀러간 그 아이라는것도 모른채 선녀할머니는
리리의 마음에 또 다시 상처를 주고 만다.
가면 쓴 리리를 보고 자신의 손녀와 친구로 지내라고 한다.
리리는 자신의 존재도 몰라보고 위선적인 행동을 하는 선녀할머니에게 화가 많이 났다.
그리고 이제 가면따윈 필요없다며 벗어던진다.
자신을 지켜줄 것만 같았던 공주 가면은 골칫덩이란 꼬리표를 떼줄 탈출구가 더 이상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앞으로 리리는 골칫덩이란 꼬리말도 당당하게 받아 들일 줄 아는 그런 아이로 성장해나갈 것 같은
암시를 하면서 이야기는 끝이 난다.
시련을 겪으면서 더 단단해지는 리리.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줄 알고 더 나은 아이가 될 수 있을거란 희망을 품고 살아가는 리리 이야기가
앞으로 계속 되었음 하는 바람이 든다.
골칫덩이란 말 한 마디에 리리가 상처받는 모습을 보면서
나 역시 어른이기에 약자인 아이에게 상처받는 행동이나 말들을 무심코 하지는 않는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우리 사회에 리리처럼 소외받은 아이들에게 따뜻한 시선이 아닌 차가운 시선과, 선입견을 가지고 보지는
않았는지.....그랬다면 앞으론 그런 어른은 되지 말아야겠단 생각이 든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나온 책이지만 분명 어른들이 읽었을 때도 반성과 깨달음이 있을거라 생각한다.
우리 사회에 어른들의 차가운 시선으로 인해 리리처럼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로 인식하는 어린이들이 많아지지 않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