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 먹는 괴물 밝은미래 그림책 45
이현욱 지음, 양수홍 그림 / 밝은미래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물’이라는 글자를 보면 전기코드가 그려져 있다.

전기 코드가 왜 있지?

물 먹는 하마처럼 전기 잡아먹는 냉장고라서?

 

괴물이 침까지 흘리면서 혀를 내밀고 있다.

매워서?

맵다면 뭐가 맵다는 거지?

아니면 냉장고가 너무 맛있어서? ....

 

괴물은 왜 냉장고를 먹는 걸까?

냉장고 안에 들어있는 음식까지 다 먹을까?...

 

편리하다는 이유로 아무 생각 없이 냉장고를 사용하는데,

이현욱 작가는 <냉장고 먹는 괴물>을 통해

우리에게 무엇을 전달하고 싶을까?

궁금하다.

 

 

괴물이 이집 저집 돌아다니느라 무척 바빠 보인다.

냉장고를 먹어치운 괴물이 배가 불러 앉아 있다.

괴물의 배에 먹은 냉장고가 그대로 들어있다.

냉장고를 맛있어 하는데 괴물의 입맛이 참 독특하다.

 

냉장고를 먹은 괴물이 매일매일 배를 두드리며 놀이터에 나타났고,

아이들은 커다란 괴물과 신나게 한바탕 논다.

아이들은 괴물이 무섭지 않은가 보다.

괴물은 냉장고를 먹은 뒤 왜 놀이터에 나타나는 걸까?

소화 시키려고?

아니면 아이들을 위해서?

아니면 놀 친구가 없어서?

 


괴물은 배가 아프면서도 냉장고를 계속 먹어치운다.

왜 그렇게 냉장고에 집착하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동네 CCTV에도 모습이 보이지 않는 괴물의 정체를 경찰은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밝혀낼 수 있을까?

혹시 괴물이 아이들 눈에만 보이는 것은 아니겠지?

 

‘도둑이 제 발 저린다.’는 속담이 있다.

숨어서 지켜보는 괴물의 모습이 무섭기보다는 귀여워 보인다.

고개만 살짝 돌리면 괴물을 볼 수 있는데,

다들 이야기 나누는 것에 정신이 팔려서

자신들을 훔쳐보는 괴물은 보지 못한다.

괴물을 보았다고 해서 잡을 수 있을까?

괴물이 냉장고 도둑이라는 증거는 어떻게 찾으려나?

 

 

 

냉장고가 없어서 이웃들과 음식을 나눌 일이 많아졌단다.

상하기 쉬운 음식물을 오래 둘 수가 없으니까 이웃들과 왕래도 잦아졌다.

정을 나누면서 살 수 있으니 좋은 일이다.

이웃들은 사이가 좋은데, 개와 고양이는 여전히 앙숙이다.

무슨 일로 고양이가 쫓기지?

 

 

만약에 냉장고가 다 없어져 버리면 어떤 일들이 생길까?

음식물을 오래 보관할 수도 없을 것이고,

겨울이 아니고서는 냉동 음식물은 구경도 못할 것이다.

책을 다 읽은 뒤에는 독후활동으로

아이와 함께 냉장고의 좋은 점과 나쁜 점 찾기를 해보면 좋을 것 같다.

 

가정마다 냉장고가 두 대 이상(김치 냉장고 포함)인 경우가 많은 요즘,

이현욱 작가는 “냉장고는 음식물의 보관 상태를 연장할 뿐,

영양소까지 보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뒤통수를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냉장고 없는 생활은 상상도 할 수 없다.

 

한 순간도 멈추지 않는 냉장고지만

그동안 생각이 짧아 전기 사용량에 대해서는 크게 고민해 보지도 않았다.

 

책을 읽고 나니 어렵고 힘들겠지만 냉장고 없이 하루 버텨보기와

조금씩 냉장고 비우기를 실천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벌써부터 가족들의 거센 반대와 투덜대는 모습이 상상되지만

괴물의 생각을 알려주면 충분히 설득이 가능할 것이다.

도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