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갈리아의 딸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지음, 히스테리아 옮김 / 황금가지 / 199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정말로 색다름을 주었다. 남자 중심의 지금의 현실을 그대로 바꾸어 놓은 글이었다. 이 책속의 이갈리아라는 곳에서는 여성(움)이 남성의 역할을 담당한다. 나가서 고기를 잡아와서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고 중요한 일을 한다. 반면 남성(맨움)은 정말 쓸모없는 인간으로 그려져 있다. 아이도 낳을 수 없고, 어렸을 때부터 기술을 배우지 못해-그들은 뜨개질이나 바느질을 한다- 근육의 힘도 잃어버린 아주 나약한 존재이다. 집안일로 인해 자신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주인공 페트로니우스의 아빠 크리스토퍼는 건축설계에 상당한 재능이 있었던 것으로 그려져 있으나 아내가 셋째아이를 낳겠다는 바람에 그 꿈을 접어야만 했다-많은 사회적인 제약이 따랐다.

의회의 의석도 대부분의 움이 차지를 했다. 모든 상황이 현재의 남성과 여성을 바꿔놓은 것이다. 남성들은 그들의 성기를 조이는 페호라는 속옷을 입어야만 했고, 월경이 없다는 것에 대해 수치심을 느껴야 했다. 여성인 나로서는 우선 남성중심을 완전히 탈피했다는 것에 대해서 만족감을 느꼈다. 월경이 그렇게도 중요한 뜻을 가지게 해석이 될 수도 있구나 하는 것에 신선함을 느꼈다. 그렇지만 왠지 그 사회 속에서 살고 싶지는 않았다. 책의 내용이 모든 것을 극단적으로 바꿔놓은 것에 그러한 원인이 있다고 생각한다. 눈에 보이는 대비를 서술하기 위해 작가는 모든 것을 너무나도 극단적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러한 사회에서 살고 있는 움이나 맨움 모두 불쌍한 존재라고 여겨졌다. 지금의 우리사회는 분명 문제가 있다. 성적인 차별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그것을 깊게 생각하게 만들어 주는 충분한 계기가 되는 책이다. 맨움들이 그들의 해방을 위해 노력하는 2부에서는 요즘의 여성운동가 페미니스트를 그린 것으로 보이는데 읽어볼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틀비 이야기
허먼 멜빌 지음, 이정문 옮김 / 문화사랑 / 1999년 6월
평점 :
절판


화자는 변호사이다. 그의 사무실에는 칠면조(얼굴색이 정오 이후에 붉게 된다는 데어서 붙여진 별명, 화자와 나이가 거의 같다, 60세쯤), 펜치(야심-주제넘게 일을 하려고 함-, 소화불량이라는 별명을 가지고있음, 25세 가량의 젊은이), 생강비스킷(12세의 소년, 잡다한 심부름을 함)의 세 사람의 서기가 있다. 화자는 그의 직책이 바뀌어 일손이 부족하게 되자 구인광고를 낸다. 그 광고를 통해 새롭게 이 사무실에 합류한 사람이 바로 바틀비이다. 이는 그가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을 하고자하는지 등에 관한 개인적인 이야기는 한 마디도 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묵묵히 일도 해서 화자의 신뢰를 얻었지만, 그에게는 한 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그것은 바로 '그러고 싶지 않습니다'라는 그의 대답이었다.

그는 그가 마땅히 해야하는 일을 별로 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는 그 말로 일체 손을 대지 않는다. 보통 때 같으면 그러한 상황에서 화를 내는 것이 정상인데도 화자는 그에게 말을 하지 못한다. 화자는 그를 신뢰하고 있었고, 왠지 모를 신비감 같은 것에 바틀비를 너그럽게 봐주는 것 같았다. 그렇지만 어느 순간부터 바틀비는 그가 그동안 자연스레 해왔던 일조차 하기를 꺼려하고 그의 사무실에서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다. 또한 그의 사무실에서 살기도 한다. 물론 바틀비의 태도는 당당했다. 무슨 이유로 어디에서 그런 철판을 깐 얼굴이 등장할 수 있는지 처음에는 이해가 가지 않았다.

물론 지금도 완전히 그 이유를 이해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 화자는 이상하게도 그런 바틀비를 쫒아내지 못한다. 월급에 돈을 더 얹어주고 나가달라고 말도 해보지만 바틀비는 역시 '그러고 싶지 않습니다'라는 말만을 할 뿐, 사무실에서 꼼짝도 하지 않았다. 대책이 서지 않자 화자는 사무실을 옮기기로 마음을 먹고 이사를 했다. 물론 바틀비는 데려가지 않았다. 바틀비는 예전의 사무실에서 꼼짝도 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화자는 또 애를 먹는다. 예전 사무실을 산 사람이 바틀비 때문에 자꾸만 찾아와서 어떻게 좀 해보라고 말을 한다. 어찌어찌 되어 바틀비는 형무소와 같은 곳에 갇히게 된다.

건물의 주인이 바틀비를 부랑자로 경찰에 고발하여 뉴욕 시 교도소에 수감되게 된 것이다. 화자는 그런 바틀비가 안쓰러워 사식을 넣어주기도 하고 면회도 가지만 결국 바틀비는 그 곳에서 쓸쓸한 죽음을 맞는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도대체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끝장의 바틀비에 관한 이야기를 읽지 않았다면 도저히 바틀비가 왜 그렇게 살았었는지 어떤 독자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바틀비는 워싱턴에 있는 배달불능우편물과의 말단 서기로 일을 했는데 인사이동으로 인해 감원이 되었다. 감원이 바틀비를 그와 같이 만들었다는 것이 아니다.

바로 그가 배달불능우편물을 맡았다는데 그 이유가 있을지도 모른다. 그것은 바로 죽음과 맞닥드려져 있기 때문이다. 갈 곳 없는 우편물들의 최후는 바로 소각이다. 저자는 이러한 짧은 이야기로 이 글을맺고 있다. 생각의 여운을 남겨주는 짧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