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의 질문법 - 최고들은 무엇을 묻는가
한근태 지음 / 미래의창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처음 펼치면 나오는 질문에서 한참을 생각했다
"당신은 질문하는 사람인가"
'나는 과연 질문을 하는 사람인가?"
예전의 나는 질문을 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어릴 시절 내성적이고 소심한 성격 덕에 수업시간에 손을 들고 다른 아이들의 시선을 받으며
큰소리로 질문을 한다는 것은 나에게는 참으로 힘든 일이었다
성인이 되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사람을 만나거나 일을 함에 있어도 질문이 많지 않은 사람이었다
그 말은 나라는 사람은  인생이라는 이 중요한 것에도 큰 호기심도 없고 무언가를 얻으려는 욕망이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그렇게 오랜 시간을 살았다 삶에 아무런 질문 없이 그냥 사는 대로 살았다
작년 나는 내 인생을 바꾸고 싶다는 강열한 욕구에 휩쌓였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하나 방법을 찾아보던 중 매일 나의 마음을 관찰해보는 글을 써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나를 생각 마음 감정 등을 관찰하는 글을 써보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생각해본다는 것은 나 스스로 나에게 질문해보고 답을 해보는 것이다
이전에도 물론 내가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생각 안 해보지는 않았지만 생각으로 그렇지만 말았다 그것을 글로 적어보지 않았기에 정리가 되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작년 중순부터 지금까지 나는 매일 글을 쓰고 나에게 수많은 질문을 하고 스스로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고 있다
확실히 매일 나는 관찰하고 나에게 질문을 하고 답을 해보는 습관이 생겼고 그 습관을 나를 많이 변화시켰다 이전과는 다는 사람이 되었다 나라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되었고 나 자신에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임을 깨달았다 그때부터 나라는 사람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고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가
보이기 시작했다 나는 이것이 나를 관찰하는 글쓰기와 질문의 힘임을 알고 있다
'질문이 답이다'라는 말처럼 질문에 대한 답은 오늘과 내일이 다를 수 있다
질문을 하고 생각을 하고 상상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얼마 전 우리나라의 학교의 수업시간과 외국 학교의 수업시간을 비교한 영상을 본 적이 있다
선생님 혼자만 말을 하고 학생들은 너무도 조용한 우리나라의 학교 내가 선생님이라도
학생들이 아무도 질문을 하지 않으니 제대로 알아들었는지 못 알아 들었는지 너무도 답답할 것 같았다
이어서 나온 외국학교는 우리나라 학교와는 너무도 달랐다 질문이 계속 이어졌다 질문의 수준이 높아
선생님이 당황하기까지 했다 비교 영상을 보고 우리나라의 상황이 너무도 답답했다
모르는 것을 물어야 더 큰 깨달음이 있고 성장과 발전에 있을 텐데 가르치는 선생님에게나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나 너무도 안타까운 시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4파트로 어떤 질문을 어떻게 하면 좋은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파트 1 '나를 채우는 질문'에서는 한 번뿐인 나의 인생을 알차게 채우기 위해서는 나에게 어떤 질문들을 해야 하는지에 관해서 알려준다 
파트 2 '관계를 잇는 질문'에서는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다
파트 3 '일이 방향을 정하는 질문'에서는 일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다
파트 4 '리더를 위한 질문'에서는 리더는 어떻게 질문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다

책을 보며 질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질문이라는 단어를 염두에 두고 항상 삶에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는 사람이 되자고

다시금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