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여자치고 잘 뛰네 - 남자들의 세상 속 여자들의 달리기
로런 플레시먼 지음, 이윤정 옮김 / 글항아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 4월 15일 자 한 신문사 헤드라인에 눈길이 갔다.

“여자만 수영복 입고 뛰라고? 美 육상팀 경기복 논란”

기사의 첫 줄을 읽어보니 “2024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공개된 미국 육상 선수들의 경기복이 성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남성 경기복과 달리 여성 경기복만 노출이 과하다는 이유에서다.”라는 내용이 이어졌다.

미국, 육상, 경기복, 성차별. 어째 낯설지 않은 단어였다. 나이키는 올해 7월 파리 올림픽에서 입을 여자 육상 선수 경기복으로 골반이 보이게 깊게 파인 ‘하이컷 수영복’을 선보였는데 그건 육상 선수의 경기복이라기보다는 수용복과 같았다. 나이키는 문제의 ‘하이컷 수영복’은 다양한 선택지 중 하나라고 반론에 나섰지만 그 숨겨진 의도를 피해 가기엔 부족한 변명 같은 답변이었다. 미국의 전현직 선수들은 논란의 경기복을 보고 불편한 심기를 SNS에 표출했고 "이 옷이 정말 기능적으로 좋다면 남성들도 입어야 할 것"이라며 전 미국 육상 선수 로렌 플레시먼도 지적의 목소리를 냈다. 과연 이것은 누구를 위한 복장이었을까? 나도 운동할 때 나이키를 즐겨 입는 한 사람이다. 이번 기사를 통해 여자 선수들을 향한 성 상품화 노력을 그치지 않는 스포츠계 산업의 민낯을 본듯해 씁쓸해졌다.

우이천에 쏟아져 내리는 벚꽃 러닝은 내가 봄날에 부릴 수 있는 유일한 사치인데 올해 3월 서울 국제마라톤 대회를 앞두고 부상을 입는 바람에 작년과 같이 ’사치런‘을 즐길 수 없어 못내 아쉬워하며 봄을 보내고 있다. 그런 중에 만난 책 <여자치고 잘 뛰네>는 제목부터 호기심을 일으켰다. 달리지 못하고 있는 나의 지금에 뭔가 모를 위로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게 했다.

<여자치고 잘 뛰네>의 저자인 로렌 플레시먼은 미국 역사상 가장 화려한 경력을 가진 장거리 달리기 선수 중 한 명으로 현재는 은퇴해 코치와 작가로 활동 중이다. 러너들에게 잘 알려진 스포츠 잡지인 <러너스 월드>에 칼럼을 기고하며 여자 선수들의 보이지 않는 ‘어둡고 복잡한 속살’을 드러내고 변화를 도모하는 데 힘을 보태고 있는 그녀도 한때는 스포츠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몸을 외면해야 했던 ‘여자 선수’중 한 명이었다. 그러면서 선수로서 피할 수 없는 부상에 직면하며 자신의 몸을 돌아보고 소중한 일상을 회복해 나가려는 용기 있는 진심과 솔직함을 한편의 에세이에 담아낸 그녀의 이번 책 <여자치고 잘 뛰네>는 알지 못했던 여자 육상 선수들의 고충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다.

여성의 몸은 2차 성장을 거치면서 남성의 몸과 다르게 변해간다. 생산을 위한 필수 요소들로 변화되면서 남자 선수들과의 다른 호르몬을 장착하게 된다. 그 시기는 남자 선수와 달라지는 기량 차이를 누구도 피해 갈 수 없다. 월경의 시작은 여자 선수로서는 반갑지 않은 몸의 성장을 나타내는 변화다. 이때부터 여자 선수들은 자신의 몸을 배려하거나 남성과 다른 훈련 방식을 요구할 수조차 없는 불안전한 시스템을 쫓아가야 한다. 이러한 여자 선수들의 다른 생체리듬에 맞는 시스템과 코치는 아직도 드물다고 하면서 로렌은 자신의 책에서 여자 선수들만의 고충을 털어놓는다.

‘자기 종목에서 최고의 성과를 내는 여성 운동선수들은 비운동선수에 비해 신체 만족도가 높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반대다.‘ 그 이유로 ’서구적인 미의 기준을 사람의 가치로 보는 문화적 영향’과 ‘스스로 몸을 해하지 않고는 달성하기 힘든 수준의 이상적인 체중의 존재’를 꼽았다. 이상적인 체중을 달성하기 위해 선수들은 섭식장애를 겪기도 한다. 저자는 책에서 '2022년까지만 해도 NCAA(전미 대학 체육협회)는 여자 대학 운동선수의 35퍼센트가 거식증의 위험에 처해 있었고, 58퍼센트가 폭식증의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에도 공식적인 정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몸으로 달리고 성과를 내야 하는 그녀들은 정작 제 몸의 변화를 외면해야 할 수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니 책장을 덮는데 같은 여성으로서 연민이 한가득해졌다.

대한민국과 같이 육상이 비인기 종목으로 분류되는 나라에서 ‘멋진 몸매, 탄탄한 근육과 엉덩이, 깊게 파여진 여자 선수들의 가슴팍이 잘 보이는 출발선이 잘 보이는 자리가 최고의 관중석’이라는 이 불편한 사실을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아직도 여자로 살아가는 이 세상에서의 사각지대는 너무도 폭넓고 다채롭다.

여성은 위대한 남성을 탄생시킨다.

위대한 여성을 탄생시키는 것은 무엇일까?

남성이 추구하는 야망의 소용돌이를 피하는 것?

혼자가 되는 것?

<여자치고 잘 뛰네> 中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여성의 질문과도 같은 저자의 물음을 이 화창한 떨어지는 봄 꽃잎에 물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눈부신 친구 나폴리 4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시대 7,80년대를 연상케하는 레누와 릴라의 동네. 친구, 이웃, 학교생활이 우리네 시절과 참 닮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눈부신 친구 나폴리 4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blog.aladin.co.kr/755360198/95346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눈부신 친구 나폴리 4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년시절부터 노년기를 겪어내는 두 소녀의  우정을 그려 낸 [나의 눈부신 친구]는 일명, 나폴리 4부작으로 이뤄진 소설 4권 중 1권이다. 나폴리에서 태어나 자란 '베일에 쌓인 작가' 엘레나 페란테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아 낸 소설이라고 한다. 처음 이 소설을 접했을 때는 소설의 배경인 이탈리아 나폴리와 우리나라와의 공통된 분모를 보게 될 것이라고는 전혀 예상치 못했다. 전혀 다른 시대와 배경에 처한 다양한 독자들이 [나의 눈부신 친구]를 통해 동질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이 소설이 주는  매력 중 한가지일테다.

소설은 사라진 엄마 릴라를 찾아 나서는 아들 리노와 노년을 맞은 소녀 레누의 전화통화로 시작된다.  곧바로 이어지는  두 소녀의 유년시절을 따라 가다보면 어느새 훌쩍 자란 두 소녀의 사춘기 시절이 펼쳐진다.  1950년대 나폴리의 한 작은 마을에 살고 있는 소녀 레누를 통해 소개되는 한 동네의 모습은  20-30년 전  우리나라의 모습과 겹쳐 친근하게 다가온다. 어느새 친근함에 무장해제 된 독자를 두 소녀의 우정 아래에 가라앉은 민낯을 한 듯한  세세한 심리묘사로 소설은 밀어 넣는다. 

레누는 자신과는 달리 독립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줄 아는 재능 많은 친구 릴라를 동경하고 질투한다.  소설 속 레누는 매우 감수성이 풍부하며 과하게 예민하다 싶을 정도로 자신과 친구 릴라, 둘 속을 끊임없이 오고가며  드러내지 못한채 불안정하고 불편한 심리 상태를 간직한 채 살아간다. 레누는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늘 당차고 자신있게 자신을 표현하고 살아가는 릴라를 부러워하기도 하며 질투하다가 어느샌가 친구의 기쁨을 온전히 함께하지 못하는 그녀 자신을 불행하다고까지 느끼기도 한다. 동시에 그런 맘을 갖게되는 것에 죄책감을 갖고 갈등한다. 우정에서 애증. 다 큰 성인 여자라도 아니, 인간이라면 친밀한 관계에서 한 번쯤은 맛보게 되는 선함과 악함을 함께 느끼는 양가 감정을 작가는 레누를 통해 생생하게 묘사한다. 격하고 못됐기도 하지만 좋아할 수 밖에 없는 매력적인 치구 릴라의 재능을 바라보며 자신을 누추하게 생각하는 레누의 모습에  어느새 나 자신이 소설 속 주인공이 되는 듯한 일체감을 느끼며 어린 시절 숱한 우정들을 떠올리게 한다. 또한 그녀를 연민하다보면 어느새  자기연민에 빠져있는 내 자신을 발견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흔들리고 불안한 정서적 고민 속에 어느새 시간을 지나와 한뼘씩 자라가는 그녀들의 성장기를 보고 있자면  금새 뒷 이야기의 궁금증이 증폭된다. 


다소 과격하다 싶을 정도의 거친 대화와 인물 묘사는 녹녹치 않던 시대상을 잘 반영해 준다. 다만 드문드문 묘사되는 직역한 듯한 어색한 문체를 피할 길 없음이 아쉽기만 하다. 중년이 된 나이에 어릴 적 불안정한 우정에 '한 삶'을 의지했던 그 누구라도 내 안의 소녀를 꺼내 볼 수 있는 추억의 시간을 가져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기에 좋을 책이다. 


 - 소설 속 밑 줄

                                   (유년기 중)


유년 시절을 되돌아보면 비슷한 사고가 많았던 것 같다. 우리는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참 쉽게 다치던 시대에 살고 있었다. (p.33)


나는 내 행동과 내가 항상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릴라는 달랐다.(p.35)


당시 내가 두려워한 것은 단 한 가지. 올리비에로 선생님의 계급 체계 안에서 릴라와 동급으로 분류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나는 선생님이 릴라와 레누차가 학급에서 가장 뛰어난 아이들이라는 생각을 바꿀까봐 두려웠다.(p.53)


                                               (사춘기 중)


나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울었고 나 자신에게 벌을 주기 위해서 스스로를 더욱 가꾸지 않았다. 나는 장녀였고 내 밑으로는 두 남동생과 막내인 엘리사가 있었다. 내 남동생들인 페페와 잔니는 번갈아 가면서 나를 위로하며 과일을 가져다주거나 자신들과 놀아달라고 했다. 하지만 나는 세상에 홀로 남아 험난한 운명에 대적해야 하는 것처럼 느껴져 안절부절못했다.(p.133)


세상은 이렇게 밝고 따뜻한데 어째서 우리 동네만 폭력과 긴장으로 가득 차 있는 걸까. (p.1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눈부신 친구 나폴리 4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시대 7,80년대를 연상케하는 레누와 릴라의 동네. 친구, 이웃, 학교생활이 우리네 시절과 참 닮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