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두리 없는 거울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박현미 옮김 / arte(아르테)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책을 모두 읽고 나니, 왜 제목이 <테두리 없는 거울>인지 알겠다.

이유는 간단하다. 다섯가지 이야기중에 가장 임팩트가 강하고 기승전결이 명확한 소설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계단의 하나코>는 친숙하다.

일본추리소설을 좋아하고 드라마를 좋아한다면 "이건 평범한데....."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다고 해도 우리나라에도 제법 유사한 괴담이 있고 여고괴담등의 학교 호러가 꽤 있었으니 그럴 법하다.

 

<그네를 타는 다리>도 하나코와 비슷한 모티브 분신사바때문에 소재는 친숙하다. 다만 풀어나가는 방식이 독특하다. 그네의 흔들림이 그네를 탄 아이의 심리와 같다.

그리고 한 아이의 죽음을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에서 현실적인 공포를 느끼게 한다.

 

<아빠, 시체가 있어요> 이건 어딘지 모르게 불분명하다. 솔직히 조금 갑갑함을 느꼈다.

처음에 벽장 속에서 시체를 파낼 때만 해도 그 가족이 집단자살을 해서 자기들 시체를 파내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마지막 페이지를 읽고는 다시 처음부터 읽어야하나 고민했다.

이 이야기만큼은 뭘 말하고 싶은지 잘 모르겠다.

시체를 성가시다고 말하는 심리와 거기서 느껴지는 공포는 알겠지만 이야기 자체가 뭔가 비틀려있다.

 

<테두리 없는 거울> 이건 굉장히 잘 짜여진 단편이다. 다섯가지 이야기중 베스트! 감각적인 심리묘사가 좋다.

 

<8월의 천재지변> 이건 그냥 무난한 우정이야기. 결말의 반전(?)을 기대했는데....정말 무난하게 끝난 것 같다.

 

아빠, 시체가 있어요 때문에 별 하나를 뺐는데...

테두리 없는 거울 하나만으로도 읽을만한 소설이며, 문장이 간결하고 술술 읽히며 다채로운 느낌이 있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