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
심광현.유진화 지음 / 희망읽기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넷플릭스에서 제작된 한국 콘텐츠인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프랑스에 열린 <오징어 게임> 팝업 체험장엔 5시간을 기다려도 못 들어가고, <오징어 게임>의 세계젹인 흥행으로 넷플릭스의 주식은 사상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다는 외신이 보도되고 있다. 심지어는 <오징어 게임>의 흥행을 보고 한국 콘텐츠가 세계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지배하고 있는 할리우드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다는 보도까지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5623036) 

반면 <오징어 게임> 제작한 나라인 한국에서는 의외 반응을 보인다. <오징어 게임>을 섹스를 협상 카드로 쓰는 여자로 표현하여 <오징어 게임>이 가진 서사가 위험하다고 지적하는 글(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632766)이 있으며 <오징어 게임>이 시대를 역행하며 여성 혐오뿐만 아니라 약자에 대한 혐오를 과감 없이 보여주는 비판적인 글(https://entertain.v.daum.net/v/20210922181915025?f=m)들이 공유되고 있다. 

이렇게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오징어 게임>을 우리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는 이에 대한 명백한 답을 제공해주진 않는다. 하지만 <오징어 게임>을 어떻게 보아야 할 지에 대한 답을 이끌어 낸다. 

저자의 말대로 “극장과 TV를 통해서만 간헐적으로 경험했던 영화 관람이 VOD 서비스, PC,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아무 때나 가능하게” 되었고, 넷플릭스를 비롯한 많은 OTT 서비스로 같은 콘텐츠를 많은 사람들이 함께 즐기게 되었다. 우리는 아무 때나 어디서든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는 관객이 된 것이다. 이러한 ‘아무 때나 어디서든 다양한 콘텐츠’는 “더 넓은 다중지능의 사회”를 만들어 주며 창조적인 비교를 하는 계기를 만들어주고 있다. <오징어 게임>처럼 말이다.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 속에서 스토리텔링은 “ ’지금 여기’를 넘어 창조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라는 뜻이다. 이 능력을 발전시킴으로써 주어진 제약을 넘어서고, 더 유연하게 대처하고, 자신의 조건과 더 유사한 것에 천착할 수 있다. 이것이 스토리텔링의 진화적 이점이다. p.30”. 특히 “대중영화는 인물들이 예기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면서 오히려 위기를 극복해 가는 <자기-변형>의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p.49” 이로써 대중은 세계관을 교정하고 인생관을 혁신하는 방향으로 진정한 철학적 실천을 수행할 가능성을 열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오징어 게임>은 TOP 10에서 전 세계적으로 평균적인 랭킹 1.1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 속에 연달아 씁쓸한 반응을 보이는 또 다른 대중들이 있다. <오징어 게임>을 제작한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는 속 여성들은 연달은 여성 혐오 범죄에 노출되어 공포에 떨고 있다. 여성들 뿐만 아니라 약자에 대한 혐오로 가득 찬 세상 속에서 <오징어 게임>에 대한 반감은 <대중의 철학이 된 영화>에서 말하는 영화 텍스트의 복잡한 생산과정 자체를 심층적으로 규명할 필요를 느끼게 해 준다. 한국의 대중영화인 <오징어 게임>은 서구 모방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발명 단계로 진입하여 역으로 서구의 대중정치를 비교 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 

<대중의 철학이 영화>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줄다리기 속에서이행기의 이데올로기적 저항이 수렴되고 발산되는 일종의 <심리적 광장>(p.159)” 만들 있는 계기를 제공해준다. 또한 중의 철학이 영화> 통해 심리적 광장을 만들고자 흔적들은 한국과 세계, 그리고 과거와 미래의 시청자들의 다성적인 대화를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제공할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