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역사 시간 - 우리 역사를 외면하는 한국사 교과서의 실체를 밝힌다
이주한 지음 / 인문서원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우리가 배웠던 역사들이 사실과 다르다면? 고조선부터 시작되어 삼국시대, 후삼국, 통일신라, 고려, 조선까지 길었던 역사를 쭉 배워오면서 한치의 의심이 없었는데, 책을보며 내가 알고있던 역사가 혹시 잘못된게 아닐까. 생각해보니 덜컥하는 마음이 먼저 들었다. 이 책은 단순히 '이런 가정을 해보자' 는 것이 아니라 사료를 근거로 왜곡된 역사에대해 설명하고있다. 축소되고 왜곡된 한국사에대한 분노와 우리가 잘못알고있고 역사학계에서 듣지않으려고 하는 역사를 알리고, 알아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고대사 학계는 1차 문헌사료에 대한 사료 비판이 아니라 기존 학설을 견지하는 입장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이른바 '정설'을 설정하고 여기서 벗어나면, "기존 견해와 다르다", "통설이 아니다", "학계의 다수의 견해는 이렇다.", "재야학자의 견해다", "역사학자가 아니다" "어쨌든 대세는 그와 다르다"는 논리(?)를 들먹이며 새롭게 밝혀진 사실들을 학문적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p.59)


얼마전, 백제의 22담로에 관한 글을 읽고, 내가 알고있던 백제는 생각보다 훨씬 위대했던 나라였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신라에비해 백제나 고구려의 역사는 축소된 부분이 많고 결과적으로 패한 나라이기때문에 과소평가 된 부분이 많을 것이다. 특히 고려시대 삼국사기만 봐도 후백제의 영향 등으로 백제의 역사는 빈약하다. 역사를 서술하는 것도 결국은 사람이 쓰는 것으로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증거로서 나온 사실 등을 외면하고 짜맞추는 것은 지양해야하지 않나 싶다. 과거를 정확히 밝히고 그 사실을 후손들에게 전해야할 의무가 있는 역사조차 주류와 비주류로 나뉜다는 것이 놀랍고 씁쓸했다. 


책에서는 고조선의 역사, 중국사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를 논하는 것, 일본이 한국을 침략하기위한 명분으로 사용했던 정한론을 토대로 역사를 해석하는 임나일본부 등에대해 반박하는 내용들이 주가 된다. 중화사상과 일제강점기의 식민사관의 영향을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 스스로가 제대로 된 역사를 찾으려는 노력보다 일본의 역사학자들의 주장을 그대로 따르고 그것을 교과서에 싣고 가르치는 모습들이 안타까웠다.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알고있어야 내 나라에대한 자긍심도 가질 수있지않을까. 현재,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논쟁이 뜨거운데, 이러한 올바른 역사는 이 시점에서 우리가 귀 기울여야 할 주제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