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천만 원으로 작은 식당 시작했습니다
김옥영.강필규 지음 / 에디터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 홍대 리치몬드 제과점이 비싼 임대료를 견디지 못하고 프랜차이즈 커피점에게 자리를 내주게되었다는 기사로 많은 사람들이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던 것은 비단, 하나의 제과점이 없어졌기 때문만이 아닐 것이다. 그건 아마 누구나 크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자기자신만이 알고있으며, 마음이 편해지고 정을 나눌 수 있는 단골가게 하나를 가지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기때문일 것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대한민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프랜차이즈 전문점은 늘어가는데 동네 빵집, 동네 분식점, 동네 카페 등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개인사업자들의 식당이나 사업체들이 대기업의 프랜차이즈점에 밀려 어떤 지역에 가도 똑같은 메뉴와 똑같은 간판을 가진 프랜차이즈점을 만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프랜차이즈는 기본적으로 광고와 본점의 관리로 어느정도 신뢰할 수 있고, 맛을 보장받는다는 이점과 익숙함은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 하나뿐이며, 주인이 정성껏 꾸며놓은 하나뿐인 식당이나 카페는 색다름과 특별한 기분을 가지게한다. 주인의 개성이 물씬 묻어나는 인테리어와 독특한 음식과 덤으로 주기도하는 서비스는 프랜차이즈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4천만원 미만의 자본금으로 나만의 식당을 꾸리기까지의 경험을 세심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어떤 곳에 식당을 얻고, 메뉴를 정하고, 어떤식으로 인테리어를 꾸미고 식당을 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아니라 홍보와 마케팅, 신메뉴 개발까지 끊임없이 많은 사람들이 찾고싶은 식당으로 만들기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흔히, 개인의 창업은 생각하기에는 쉬워보이고 자기만의 시간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철저하게 계획하지 않으면, 어려움이 많을 것 같다. 자신만의 가게를 꾸려나가는 것은 그만큼 책임감도 커지고 위험부담도 커지기 때문이다. 또, 위생적인 부분이나 맛은 기본으로 가지고 있으면서, 다른사람들이 또 찾을 수 있도록 특별함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마케팅을 스스로 해야하므로 많은 시간과 그에 맞는 노력이 필요하다.

 

누구나 한번쯤 꿈꾸지만, 어려운 나만의 작은 식당은 실제로 저자 부부가 겪은 시행착오나 어려움, 노하우 등을 다루고 있어 식당 창업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꼭 추천해주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