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리고에 저택 살인사건
아야츠지 유키토 지음, 한희선 옮김 / 시공사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아가사 크리스티나 앨러리 퀸과 같은 서양미스터리문학을 좋아한다. 추리소설을 읽을 때의 긴장감과 재미는 다른 소설을 읽을 때보다 훨씬 더 샘솟는 것 같다. 때문에 과연 범인이 누구이며 어떻게 이러한 일이 가능한지 궁금하여 다음날 학교를 가야함에도 불구하고 늦은 시간까지 책을 읽은 적도 많이 있을 정도다. 일본역시 추리문학이 잘 발달하였는데 드라마나 만화, 소설등 전반적인 영역에서 해마다 추리문학이 쏟아져 나온다. 일본은 동양적 분위기가 많이 나타나는 소설들이 많은데 이 키리고에 저택살인사건역시 특유의 일본분위기가 나타난다.

약간은 폐쇄적이라 할 수 있는 묘한 분위기가 책 전반을 휘감고 있는데 이는 독자가 책을 읽을 때 자신이 그 저택에 갇힌것 같은 상황을 쉽게 연상하게 만든다. 키리고에저택살인사건은 표지에서부터 저택의 음산한 분위기가 풍긴다. 황혼빛 노을을 배경으로한 저택에 마치 그 저택을 감싸 안는 모습의 그림자가 책의 내용을 암시하듯 불길하고 음울한 모습을 그리고 있다. 키리고에저택은 일본문학과 미술 등의 문화를 아우르며 책 전체의 배경에 고요히 스며들게 하였다. 다만 이러한 특유의 일본문학은 그 나라사람들에게는 쉽게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나라 사람들이 이해하기엔 조금 어려운 요소로 작용될 때가 있다. 쉽게 접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신비함을 느낄 수도 있으나 추리문학과 같은 장르에서는 책을 읽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주인공 린도의 시선에 따라 전개되는 내용은 조용히 저택의 모습을 관찰하며 눈보라 속에 갇힌 상황을 때로는 속도감 있게 또는 눈앞에 그림을 그리듯이 서서히 진행되었다. 연극이 진행되는 것처럼 1막이 오를 때마다 사람들은 기이한 모습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남은 이들은 두려움에 떨며 지낸다. 무엇보다 인상 깊었던 점은 죽은 이들이 비유하는 상징이었다. 키타하라 하쿠슈의 동요 ‘비’를 암시하는 상황들과 이에 의문을 품으며 범인이 무엇을 나타내고자 하는지 추적하는 단장과 주인공. 작가는 중간 중간에 암시를 나타내어 후반에서는 이것들이 어떠한 것을 의미하는지 알게 한다. 또한 다른 추리소설과는 다르게 일종의 호러적인, 어둡고 음산하며 불길한 저택의 모습을 찬찬히 비추면서 일종의 스릴러적인 요소를 보인다. 때문에 독자들은 범인이 누군지를 추리하면서 동시에 저택의 기이한 모습에 불안감을 느끼며 읽게 된다. 또한 곳곳에 삽입된 삽화는 저택의 단면을 보여주어 독자로 하여금 글의 모습을 쉽게 상상할 수 있게 도와준주고 있다.

가장 고전적인 미스터리라 할 수 있는 밀실살인. 이는 출입이 제한된 공간에서 한정된 사람들이 모여 있고 그들 중 한명씩 죽어가는 연쇄살인이 일어나자 한사람이 나서서 범인을 밝히는 어쩌면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패턴이라 할 수 있다. 우리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장르인 소년탐정 김전일과 명탐정 코난과 같은 일본만화에서도 자주 찾아볼 수 있는데 이러한 밀실살인은 점점 예전의 모습에서 새롭고 기발한 살해방식과 그에 따른 반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턴이 유명한 것은 어쩌면 사람들에게 가장 긴장감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키리고에저택살인사건은 이처럼 고전 미스터리의 공식을 따라가고 있다. 눈보라치는 저택에서 머물게 된 ‘암색텐트’의 극단원들과 이상할 만큼 조용한 저택사람들, 그리고 예상치 못한 연속죽음 등 우리가 흔히 보아온 밀실살인의 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고전적요소가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좋기는 하지만 동시에 지루함을 느끼게 할 수도 있는데 이 책에서는 약간의 호러적인 요소를 가미해 독자들의 시선을 분산시키고 있다. 마치 스스로의 의지를 가진 듯 움직이는 저택의 모습은 어두운 느낌을 주어 그 긴장감은 배가된다.

인터넷을 뒤지다 우스갯소리로 김전일과 코난과 같은 인물과 만나게 된다면 바로 도망치는 길이 살길이라는 이야기를 본적이 있다. 그 말대로 추리문학에서는 어떤 사연이 있는 인물이 속해있는 무리는 반드시 특정한 장소에 고립되며 죄를 짓거나 살해될 이유를 가진 이들이 차례로 죽어나가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정말 확률만 잘해도 범인을 지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 이제 이런 밀실살인을 넘어선 새로운 모습의 추리문학을 볼 수 있었음 한다. 밀실살인과 같은 특정한 공식이 사람들로 하여금 긴장감과 재미 느끼게 만들지만 이제는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로 사람들의 흥미를 자극하는 작품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