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나는 무스타바 몬도의 말에 설득되어서인지 멋진 신세계가 그렇게 디스토피아로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야만인 존이야말로 너무 공상적이고 답답하고 변태 같은 중2병 마조히스트라고 느꼈다.

솔직히 멋진 신세계보다 헬조선이 더 디스토피아 같다. 신세계는 여가 생활을 보장하고 안락한 삶을 보장한다. 헬조선에서는 직업 구하기도 어려운 마당에 말이다!! 게다가 훌륭한 여가수단인 촉감영화와 소마도 있고. 멋진 신세계에선 과학이니 문학이니 즐길 수 없다지만, 솔직히 지금 이 사회에서 먹고 살기도 바쁜데 도대체 누가 과학이나 예술을 즐긴단 말인가? 상류층이나 즐기는 여가겠지.

멋진 신세계는 철저한 계급사회라지만 따지고 보면 현재 우리 사회도 경제적, 정치적 권력에 따라 계급이 나눠져 있는 계급 사회 아닌가? 우리도 델타, 앱실론 계급처럼 현실의 벽 때문에 이러한 부조리를 인식하지 못하는 걸 수도 있다. 또한 신세계에서는 사람들의 행복, 사회의 안정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데, 이에 비하면 현실 사회에서는 권력자들은 자신의 탐욕을 채우기에 바쁘다. 그러니 현실사회에 비하면 멋진 신세계는 오히려 다정하기까지한 유토피아 아닌가?

아무튼 차세대 디스토피아 문학은 멋진 헬조선이 되어야만 한다.

여담으로 소설로써의 재미는 정말 풍부했다. 특히 레니나의 사랑이 정말 안타까웠다. 불쌍한 레니나는 사랑에 빠진 죄 밖에 없는데...ㅜㅜ 어휴.. 버나드 마르크스는 꼭 내 모습 같아서 놀랐다ㅋㅋ 비겁하고 허세에 찌든 용기 없는 내 모습ㅜㅜ 그래도 버나드가 철저히 악인, 비겁한 사람으로 남은게 아니라 다정한 친구 곁에서 회개하는 엔딩이라 그 부분이 좋았다. 내게도 위로가 되었다. 아무튼 현실 세계와 어느정도 비슷해 많은 생각을 해보게끔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