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서재 속 고전 - 나를 견디게 해준 책들
서경식 지음, 한승동 옮김 / 나무연필 / 2015년 8월
평점 :
고전이라고 하면 흔히 시대를 초월해 높은 평가를 받는 문학작품을 말한다. 이 경우, 제목을 대면 누구나 알수있지만 실제로 읽은 사람은 드문경우가 많다. 어떤 책을 고전이라고 할 것인가? 출판사의 ‘세계문학시리즈’등으로 보여지는 리스트도 있겠지만 저자 서경식은 자신의 인생에 영향을 끼친 책들을 고전이라고 정의했다.
이 책의 부제는 ‘나를 견디게 해준 책들’이다. 저자는 일본에서 태어난 재일조선인 2세로 일본에서 수학했다. 1971년, 위의 두 형이 재일교포 유학생 간첩단 사건으로 구속되면서 형들의 구명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 경험은 후에 저자의 집필활동의 근간이 된다. 디아스포라의 입장에서 재일조선인 문제, 일본의 우경화, 예술등을 화두로 글을 써 왔다. 이 책은 한겨레신문에서 연재한 칼럼을 묶은 것으로 한국의 젊은 독자에게 읽어보기를 권하는 ‘고전’을 소개한다.
프리모 레비의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에드워드 사이드의 <사이드 음악평론>, 조지 오웰의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 등 저자가 소개하는 책들은 휴머니즘과 예술, 사회에 대한 시선을 담고 있다. 모두 인간에 대한 통찰과 따뜻하지만 냉철하고 비판적인 태도를 잃지 않는 내용이다. 책의 선택에서도 그렇지만 책의 내용을 소개하면서도 저자는 자신이 처한 현실의 렌즈를 통해 책을 읽는다. 재일조선인이라는 소수자로서, 같은 민족의 젊은이들에게 책을 추천하고,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한다. 마지막에 신진 연구자들과 저자와의 대담은 그러한 저자의 입장을 대변한다. 대담자 중 한사람이 한 말이 인상적인데, 에세이를 권하지 않는 아카데미의 분위기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 글을 쓸 때 치러야 하는 내면적인 고통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 저자는 이에 대해, 개인을 개인으로만 보지 않고 관계의 산물로 인식해, 고통받으면서도 이야기 하지 못하는 다른 공동체의 일원을 대표하여 발언을 이어나간다고 한다. 개인을 드러내면서도 보편성을 갖게되는 이유다. 그렇다면 나를 드러내는 글쓰기를 하게 될 때의 ‘나’는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아마도 저자는 여기에 실린 책들을 읽으며 ‘나’를 만들어 나갔을 것이다. 팔레스타인계 아랍인이자 미국 국민이었던 에드워드 사이드, 아우슈비츠에서 절망의 시간을 견뎌낸 프리모 레비와 빈곤의 밑바닥을 파헤치려 했던 조지 오웰 등등 여기에 실린 많은 저자들의 책이 결국 저자의 오늘을 있게 했으리라. 자기의 정체성을 통해 자신만의 고전을 만든 저자를 보며 과연 나는 어떤 책을 나의 고전으로 삼을 수 있을까 생각해본다.
이 책에 소개된 책 중에서 읽어보고 싶은책이 많은데 그중에 특히 케네스 클라크의 <그림을 본다는 것>을 읽어보고 싶다. ‘순수하게 미적인 감각을 즐길수 있는 시간은 오렌지 향을 즐기는 시간보다 길지 않다’는 대목에서는 저자와 마찬가지로 감탄사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