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개정증보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김태언 외 옮김 / 녹색평론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작은 티베트'라고 불리는 라다크는 서부 히말라야 고원의 황량하지만
아름다운 고장이다. 빈약한 자원과 혹심한 기후에도 불구하고 라다크는
검소한 생활과 협동, 그리고 무엇보다 깊은 생태적 지혜를 통하여 천년
넘게 평화롭고 건강한 공동체를 유지해왔다. 물질적으로 풍족하지는
않지만 아무도 가난하다고 느끼지 않고, 긴밀한 가족적/공동체적 삶속에서
사람들이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누리며, 여성들과 아이들과 노인들이
존경받는 사회의 생생한 모범을 라다크는 보여주었다.
그러한 사회에 서구식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이 사회에
환경파손과 사회적 분열이 생겨났고, 인플레이션과 실업이 등장하고,
서구문화에 대한 맹복적인 선망이 일어났다. 오랜 세월 유지되어온 생태적
균형과 사회적 조화가 산업주의의 압력 밑에서 붕괴되기 시작한 것이다.
<오래된 미래>는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고, 그 메시지는 라다크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정열에 찬 명료한 묘사를 통해서 이 책은 진보의 개념 자체를
묻고, 현대 산업사회의 근원적인 병폐를 통렬하게 드러내지만, 그와 동시에
오늘날 사회적/생태적 재앙에 직면한 우리 모두의 장래에 대하여 구체적인
희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책 뒤표지에 실려있는 글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리뷰를 쓰려고 하다가 그제서야 뒤표지를 보았다.
내가 하고 싶은 얘기가 다 들어있다.
라다크라는 히말라야 기슭의 작은 마을의 이야기지만
그 이야기는 정말로 라다크에 국한 된 것이 아니다.
1996년에 처음 나온 책이니까 10년이나 지난 책이다.
하지만 지금 읽어도, 지금보다 더 미래에 읽어도 충분히 가치있는 책이다.
갑자기,
한미FTA를 추진하고 있는 정부 관계자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