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 - 이론의 쓸모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이택광 지음 / 글항아리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저자는 기존의 좌우 정치 지형에 속하지 않는 ‘다른 주체’로서 ‘인문좌파’에 대해 이야기한다. 즉 인문좌파는 좌우 이념을 모두 회의하는 독특한 사유의 주체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체는 ‘합의에 도전’하고 ‘불일치와 불통을 조장’하며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사유의 모험’으로서의 이론관에 부합하는 존재이다. 현실의 중력에 저항하기 위해 인문좌파는 이론이라는 근육을 키워야 한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고 ‘잃을 것’이 조금씩 더 많아짐에 따라 대개 보수화되기 마련이지만, 사유의 자유를 통해 끊임없이 회의하고 도전하는 ‘인문’ 좌파는 계속해서 ‘좌파’로 남을 수 있고 남아야 한다는 것이 아마 저자의 생각인 것 같다. 그렇다면 최신 사조에 늘 깨어 있어야 하는 것이 인문좌파의 숙명일 터이다. 이택광은 그러한 인문좌파에게 지금 필요한 이론으로서 포스트 구조주의의 안티테제들을 소개한다. 논의의 시작은 마르크스이다. 근대 사회의 욕망은 자본주의적 상품 교환에 그 기본형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젝 덕에 대중화된 라캉을 거치면서 마르크스와 정신분석학의 결합은 더욱 공고해지며 마르크스 정치경제학은 정치철학의 위치를 되찾는다.
그런데 저자의 이론근육론(?)이 무색하게, 이 (얇은) 책 한 권을 읽어서 10여 명의 이론가 혹은 경향들에 대한 이론근육을 제대로 형성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물론 책을 통해 해당 이론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은 자극될 수 있다. 그러나 더 깊이 있는 것을 애써 찾아 읽어보려는 의사가 없는 독자에게는 변죽만 울린 셈이다. 핵심근육(을 위한 기초)은 이 책으로 어느 정도 형성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잔근육은 결국 독자의 몫이다. 잔근육까지 형성된 후에라야 이론은 온전한 근육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런 류의 책이 가질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이다. 어려운 글을 쉽게, 그것도 방대한 분량을 짧게 한 권의 책 속에 담으면서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는 한계 말이다. 객관성과 대중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는 잡기 어렵다.
이 책은 성격상 뭔가 좀 애매한 책이다. 에세이보다는 무겁고 이론서보다는 가볍다. 저자는 대중성을 다분히 의식하고 쉽게 쓰려고 했고 군데군데 주관적인 주장도 하지만, 때로는 주석을 달아 객관적인 글쓰기의 외양을 유지하려고 했다. 그러면서도 책이 무거워 보이지 않도록 주석을 최소화하고 미주로 돌려서 구성을 심플하게 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어떤 부분에서는 글의 출처가 불확실하다. 예컨대 어떤 챕터는 100% 저자의 주관적인 글이 아닌 게 분명한데도 처음부터 끝까지 주석도 없고 출처도 전혀 나와 있지 않은데, 내용을 Wikipedia에서 긁어온 것이 아니라면 주석을 달아주는 게 좋았을 것이다.
‘가이드’를 통해 ‘인문좌파’의 세를 넓히고자 했다면 좀더 쉽게 썼어야 하지 않나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이 책에서는 이론과 전문용어들이 별다른 설명 없이 쓰일 때가 많고 현학적인 학술 은어도 종종 여과 없이 쓰인다. 아마 철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부생(1학년 제외)들이나 최신 유럽철학에 관심과 지식을 꽤 쌓은 소수의 인문학도들에게 가장 유용한 책일 것이다. 때문에 가이드로는 큰 점수를 줄 수 없다. 그렇기는 하지만 일정한 기획 의도 하에 마르크스로부터 시작해서 최신 이론들을 정리한 저자의 노고는 충분히 높이 살 만하다.
이 책은 1990년대 중후반 대학가에서 널리 읽혔던 『철학과 굴뚝청소부』(이하 ‘철굴’) 를 연상시키는데, 그 책과 닮은 듯하면서도 다르다. <철굴>은 근대와 탈근대의 철학에서부터 구조주의 및 포스트 구조주의 철학까지 살피는 반면, <인문좌파>는 “포스트구조주의라 불렸던 이론들에 대한 안티테제로 등장한 경향들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철굴>은 글의 어투(구어체)라든가 삽화의 조악함에서부터 이미 “이 책은 가벼운 책입니다.”라고 웅변하고 있지만, <인문좌파>는 가볍게 보이려고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무거워 보인다. <철굴>은 과잉단수화를 의도적으로 활용하여 과감하게 객관성을 버리고(?) 저자의 시각으로 이론을 단순화시켜서 독자의 이해를 높이지만, <인문좌파>는 객관성의 외양을 (어정쩡하게) 유지하려다보니 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디까지가 이론에 대한 객관적 설명이고 어디서부터가 저자의 주관적 생각인지 불분명하다. 굳이 좀더 비교를 더 해보자면, <철굴>은 근대와 탈근대라는 일관된 주제 하에 이론들을 어느 정도 직렬적으로 배치했지만, <인문좌파>는 이론들의 배치가 병렬적이다. 특히 7장 지젝 이후는 더욱 그렇다. ‘과잉단순화’ 전략과는 거리가 먼 저자의 입장 때문이기도 하고 일관된 타이틀 아래 담기 어려운 현대 철학의 다양성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책은 현재적, 잠재적 ‘인문좌파’를 타깃으로 삼아 그들을 가이드해주기 위해서 쓰여진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인문좌파임을 자처하는 이들을 가이드하기에 이 책은 지나치게 쉽고, 잠재적 인문좌파로서 이 책을 통해 현재적 인문좌파가 되어야 할 이들을 가이드하기에는 다소 어렵다는 점에서 그 입지가 애매한 책이 되고 말았다. 마치 현대 우리 사회에서 ‘인문좌파’의 실체가 아직은 애매모호한 것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