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통으로 읽는 한국사 2 - 고려 알기 쉽게 통으로 읽는 한국사 2
이진경 기획.글, 김재일 그림, 박종진 감수, 오영선 기획 / 시공주니어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TV 드라마 보는것을 그리 좋아하진 않지만 사극은 종종 함께 보는지라

자연스럽게 화제가 되고있는 드라마나 앞으로 방영될 것들에 괌심이 갑니다.

'왕의 얼굴'이나 '빛나거나 미치거나'도 화제가 되고있지만

앞으로 새롭게 방영될 징비록에 대한 관심이 지대한것같아요.

광복 70주년 특별기획 대하드라마 징비록은

서애 류성룡의 동명저서를 바탕으로 임진왜란 이야기를 담은 정통사극이라고 해요.

온몸으로 임진왜란을 겪은 그가

어떤 철학을 담아 이 책을 집필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죠








 




류성룡의 동명저서를 바탕으로 임진왜란 전후 이야기를 담은 사극으로

오해하고 몰랐던 임진왜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룰거라고 하네요.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고 다가올 어려움에 대비하자는 의미가 담긴 '징비록'을 통해

역사를 배우게 될것같아요.

군사, 정치, 외교를 강조해서

임진왜란 중 드러나지 않았던 부분을 볼 수 있을거라 하니

흥미롭게 시청하며 배울 점도 많겠습니다.



하지만...드라마는 이슈와 재미를 위해 약간의, 때로는 많이 더해지기도 하는데요

아이들이 제대로 된 역사지식 없이 보게된다면 잘못된 한국사를 배우게 되겠죠.

제대로 된 역사책을 읽고

허구와 사실을 구별할 줄 알아야겠어요






 






알기 쉽게 통으로 읽는 한국사



1. 선사 시대부터 통일 신라

2. 고려

3. 조선 전기

4. 조선 후기

5.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 중등 교과서를 토대로

학교에서 배우는 한국사를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어요.

1권부터 5권까지 모두 읽고나면

역사를 제대로 보는 눈이 생기겠죠.







 






 선사시대부터 통일 신라, 고려 까지 읽고나면

다음은 조선 전기로 들어가겠죠

어서 빨리 읽고 조선 전기 후기를 읽으며 징보록을 본다면 훨씬 더 재미있을것같아요.







 






한반도에서 최초로 완전 통일을 이룬 나라로

고려자기를 비롯한 아름다운 예술품을 만든 시대를 살펴봅니다






 





시대별 역사 전문가 선생님께서 세세히 알려주고 있어요.

고려시대 전문가 최고려 선생님이십니다 ㅎㅎㅎ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가 나라의 기틀을 잡고

사회 질서를 세우고 여러 나라들과 폭넓게 교류를 하기까지 이야기가

담겨있어요

다양한 사진과 자료들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죠






 






고려하면 무신 정권과 몽골과의 전쟁이 생각난대요.

얼마전 다녀온 강화도에서 배운 체험학습이 생각났나봐요.

다녀온 현장학습을 떠올리며 책을 읽으니 쉽게 이해가 된다고 하네요






 





유교와 도교, 무속신앙과 불교가 어우러져

더욱 찬란한 문화가 발전했던 시기입니다.

청자와 나전 칠기, 팔만대장경과 직지심체요절까지...







 




원나라에 지배당한 시기를 지나고  조선왕조가 세워지기까지

참 많은 일이 일어납니다.

최영과 이성계같은 신흥 무인세력과 정몽주와 이방원의 대립에서는

얼마전 종영된 대조영이 떠오르네요.

엄마인 저도 그러는데 아이들은 더 큰 영향을 받을것같아요.

아이들 대상의 퓨전사극들도 있던데 제대로 된 한국사 지식 없이는

삼국시대 인물과 조선시대 인물이 동시대에 살았다고 생각할 수 있겠더라구요

또, 임진왜란이 일제시대에 일어났다고 믿는 친구들도 생길지 모르겠어요 ^^;






 





역사탐방을 다녀온 곳이라면 더 눈여겨보게 되겠죠

예전에 다녀온 기억이 새록새록 나며 관심을 가집니다










 






사진과 자료가 풍부하니 지루하지 않구요

여러 번 읽으면서 점점 더 이해가 잘 된다고 해요.

5학년부터 시작하는 한국사를 잘 만들어진 역사책 통해 흥미롭게 시작합니다.







 





꼼꼼히 여러 번 읽고 워크북 통해 한번 더 체크할 수 있어요.

우리 아이는 한번에 워크북까지 풀진 못했어요.

막히는 부분이 많은걸 알고 다시 책을 읽겠다고 하네요.

제대로 된 역사책을 읽고 바른 역사관을 가졌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