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문가 독서교육법 - 평범한 자녀를 최고의 인재로 키워낸
이상주 지음 / 다음생각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책 속의 사람이 지금 살고 있다면 천리를 불문하고 반드시 찾아갈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무 수고도 없이 앉아서 그를 만날 수 있다. 책 구입에 돈을 많이 쓰지만 먹을것을 챙겨 그 사람을 찾아가는 먼 여행보다는 훨씬 낫다- 

 

조선후기의 과학자이자 실한자인 최한기가 남긴 말이다. 그는 조선에서 책을 가장 많이 쓴 사람으로 "말로 남기면 가까이 있는 사람만 기뻐하는 데 비해 글로 남기면 먼 나라 사람도 즐겨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상주님의 조선명문가 독서교육법은 조선시대의 독서가들은 어떻게 독서를 했는가, 자녀들은 어떻게 공부시키고 독서를 하게 했는가에 대한 독서가들의 독서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미래에 독서맘이 되고 싶은 나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 많았다.

 

현대 교육은 주입식 교육으로 시험위주의 암기식 교육,  독서를 통한 깨달음, 인간가치에 중심을 두기 보다는 오로지 성공하기위한 성적 중심으로 공부하는 청소년들을 보게된다.  그럼에도 국제사회에서는 창의성 면에서 앞서가지 못하는게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목적이 분명하지 못한 공부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즐거움은 찾아보기 힘들게 된다.

 

나는 이책을 읽으면서 우리아이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할지, 독서를 통해 아이들의 인성을 교육해야 함을 알았다.

 

조선후기의 문신인 권양 은 

"인간성 수양은 자신의 의지에 달려있고, 정성과 공경을 다하면 이룰 수 있다.

어린이는 반드시 먼저 모범적인 삶을 산 옛사람의 길을 알려주면 어리석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 다음에 모범적인 삶을 산 예사람의 길을 알려주면 어리석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

 

라고 했다. 아이들의 공부 순서는 먼저 역사를 배우고, 소년들을 교화시킨후 학습하길 권했다.

먼저 인간성을 살리는 덕을 쌓는 공부를 한 뒤, 경서와 역사를 읽는 문예의 공부를 하는 것이다.

 

그럼 역사책은 왜 읽어야 하는가.

조선 숙종때와 영조때의 문신 임정하

"역사책을 잘 읽어보면 옛날 일을 통해 오늘을 사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라고 했다.

 

옛부터 우둔한 자는 경험과 실패를 통해 깨달음을 얻지만 지혜로운 자는 역사책을 통해 미래를 보고 깨달음을 얻는다-라는 말이 있다.

 

그러나 글공부가 부담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정조때의 실학자이자 책벌레였던 이덕무

"어린이에게 절대로 많은 것을 가르치려고 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하나라도 정확하게 가르쳐야 한다. 타고난 능력을 헤아려 200자를 배울 만한 아이에게는 100자만 가르쳐 더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둬야 한다. 그러면 책읽기에 싫증을 느끼지 않을 것이고 스스로 깨달아 좋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럼독서하기에 다독인가 정독인가.

정약용이 인정한 김득신은 백이전을 무려 1억 1만 3천 번이나 읽었다.

그는 "재주가 다른 이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스스로 한계 짓지 말라.

나처럼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없었을 것이지만 나는 결국에는 이루었다.

모든 것은 힘쓰고 노력하는 데 달려있다." 라고 했다. 

 

모든 분야의 노력하는 자는 이길수 없고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는 말이 떠오른다.

진정 독서를 즐길줄 아는 사람은 꾸준히 독서하여 독서의 진정한 재미를 깨달은 사람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