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구와 기계의 원리 Now - 그림으로 보는 재미있는 과학 원리
데이비드 맥컬레이 글.그림, 박영재.김창호 옮김 / 크래들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하게 이해하겠다는 강박이나 세상 만사에 대해 철저히 무관심하지만 않는다면 사실 ‘도구와 기계의 원리’라는 것은 의외로 흥미로운 것이리라.

이 책은 위트있는 그림들에 약간의 설명을 곁들여 도구와 기계들의 원리를 엿볼 수 있게 해 주는 책으로 도구와 기계들의 내부 형태와 작동 원리에 대한 그림들을 힘을 빼고 바라보다보면 세상에 대한 인식이 넓어지는 것 같은 기분(혹은 착각)이 들게 해 준다.

과학에 관심이 없더라도 보다보면 없던 호기심도 퐁퐁 샘솟는,
솟아난 호기심으로 어려지는 기분이 들기도 하는 호기심의 안티에이징을 위한 책.
어린이는 물론 호기심이 아직 바짝 마르진 않은 어른이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본에 충실한 나라, 독일에서 배운다
양돈선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독일의 '하드파워'는 국력의 일부에 불과하다. 그러면 나머지 국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무형의 사회 자본, 즉 '소프트 파워soft power'에서 온다. (...)
독일이 성숙하고 모범적인 강대국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데는 이 같은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의 조화로운 결합이 낳은 '스마트 파워'가 크게 작용을 했다고 본다. 오늘날 독일은 실질적 국력의 척도인 '국가 브랜드 파워'에서 종합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모든 면에서 최상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나라인 것이다. 6,7쪽

자동차, 가전, 제약 등 독일의 세계적인 '하드 파워'는 유명하지만 이 책은 그것들의 기반이 되는 독일의 정신적 사회자본인 '소프트 파워'에 주목하여 독일을 배우고자 한다.

인상적이었던 점은,

요동치는 세계 정세에도 비교적 건실한 독일 사람들은 재무관리에서 안정성이 필수 수책이었던 것.

독일어로 채무, 즉 빚은 '슐트schuld'라고 하는 데, 여기서 슐트는 죄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독일에서는 '빚=죄'라는는 인식이 강하다. 그만큼 빚을 무서워한다. 과거 100여 년 동안 초인플레이션과 여러번의 경제적 붕괴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이에 저출과 긴축을 통해 안정과 사회적 안전망을 구비하고 건전 가계, 건전 경영, 건전 재정을 구축하고 있다. 234쪽

이런 그들을 통해 치솟는 가계부채에도 이젠 둔감해지고 있는 한국을 되돌아보게 되었다.
그런 안정성은 독일이란 나라의 브랜드 파워가 되어 그들에게 또 다른 수익을 안겨다 준 점도 시사하는 바가 컸다.

국산차도 성능이 좋은데 굳이 가격이 높은 독일 차가 인기인 이유인 무엇인가? (...) 독일이란 나라와 독일 제품에 대한 신뢰 가치, 즉 무형의 브랜드 가치가 더해졌기 때문이라고 본다. 325쪽

독일 예술계의 발전이 단순히 오랜 역사에서 나온 줄 알았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보니 자연스럽게 된 것이 아니었다.

1933년 나치 등장과 함께 독일의 철학, 사상, 문학가들은 박해를 받았다. 문화예술이 철저히 파괴된 암흑기였다. 그러나 독일은 이후 자국 문화에 대한 이미지 개선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여 다시 수준 높은 문화 국가로서의 지위를 회복했다. 오늘날 독일인은 여전히 문화를 사랑하고 즐긴다. 세계에서 가장 근로시간이 적어 상대적으로 문화생활에 쓸 수 있는 여가 시간이 많기도 할뿐더러, 역사적으로 오래전부터 문화가 생활의 일부가 되어 있다. 290쪽

예술산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게 되어있는 사회적 구조도 큰 몫을 한 것이었다.

이 밖에도 저자는 여러가지 한국이 독일에 대해 배워야 할 것을 풍부한 객관적 자료와 함께 주장하는 책이다.

왜 한국은 선진 신용사회로 나아가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을까? 어떻게 해야 혼돈을 극복하고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까? 답은 독일에 있다. 대한민국이 더 나아지기 위해 진정 배워야 할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독일이다. 366

많은 통계자료 때문에 주간지 특집기사 보는 듯한 느낌도 주지만 읽고나면 그 자료들을 꿰뚫는 필자의 통찰력에 오랜 여운이 남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 장정일의 독서일기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1
장정일 지음 / 마티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빌린 책’으로 읽기를 권한다. 책은 결국 자기가 읽는 것이지 남이 책읽은 것 구경하는 것으론 절대 책읽기의 흉내도 낼 수 없으니. 물론 그럼에도 사서 읽을 만한 서평집이 있긴 하나 이 책은.... 빌려 읽으시고 이 안에 있는 책을 사 읽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말을 배우기 전 세상은 아름다웠다 - 톨텍 인디언이 들려주는 지혜의 목소리
돈 미구엘 루이스 지음, 이진 옮김 / 더북컴퍼니 / 2004년 9월
평점 :
절판


현대 사회와 거리가 너무 먼 이야기인 것이 안타깝다. 어쨌든 우리가 발 딛고 사는 땅에 적응해서 살아야 하니 이 곳의 생존 방식에 익숙해져야 하기에. 세상에 이런 견해도 있다, 인디언들의 전통 사고 방식에는 이런 매력이 있었다, 정도로 읽어보긴 괜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이스 오프 밀리언셀러 클럽 139
데이비드 발다치 엮음, 박산호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유명작가들의 협업이란 의미있는 집필과정에 비해 구성, 전개방식, 문체까지 이렇게 엉성할 수도 있었다. 책의 유명세, 마케팅에 대한 경계심을 더해준 소중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