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의 인지과학
프란시스코 바렐라 외 지음, 석봉래 옮김, 이인식 해제 / 김영사 / 2013년 7월
평점 :
페어베언Fairbairn에게 있어 인간의 기본 동기는 쾌락원칙이 아니라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필요다.
Chapter6 자아 없는 마음 대상관계들의 사회
요즘의 하루는 그간 몇
번 느꼈던 무위의 나날들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넘쳐버린 찻잔에 비교할 수 있고, 두 번째는 바닥 없는 항아리에 물 붓기와 같은 느낌에서 얻어지는 허무함과 같은 것이었다고 한다면, 지금은 바닥 없는 빈 찻잔을 들고 물 속에 들어가서 물 붓는…… 아마
그런 느낌과도 비슷하지 않을까? 아무리 지식으로 가득 차있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이럴 때 그럴듯한 말로
이런 감정을 말로 또는 단어로 대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그래서 비유나 은유가 필요할 텐데 그만큼
성숙된 지혜를 가지고 못하고 있음에 답답할 뿐이다. 그래서 자주 가는 병원의 의사도 궁금해한 스트레스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 한다. 그 스트레스는 잠재의식, 무의식의
바닥으로 내려가서 확인 할 수 없는 그 심연에 자리잡아 통증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TMS-긴장근육염 증후군Tension Myositis Syndrome의
일종일지도 모른다. (통증유발자 마음 존 사노 지음 승산 2011 간) 그러나 그 증후군에 대한 책은 아직 읽는 중이므로 뭐라 말할 수 없다. 하지만
그 의학적인 견해에 부합되는 통증과는 상관없는 마음의 공허함에 대하여 느낀 바는 얼마 전에야 갑자기 생각하게 된 것으로 그것이 시간의 한 흐름에
지나지 않는 과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 후에 그런 공허함을 내려 놓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세계가
머리 숙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고, 세상보다 커진 모습을 보았다고도 할 수 있는 그 사건은 환상에 지나지
않거나 뇌의 착시 현상 중 한 부분일 수도 있지만 그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내가 그런 흐름에 섞여 있다는 것.
그것으로 놓아버린…… 뭐 그런 느낌.
마음. 그런 마음, 이런 마음, 내가
느끼고 있다고 생각하고 그럴 것이라고 추측하는 마음은, 본래 없는 것임에도 있는 것으로 착각하는 순간들이
모여서 나날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런 착각을 놓아버리면 사유하는 주체에게 남는 것은 그야말로 자유로운
무엇. 그것을 가칭한다면 나라고 할 수 있는…… 말하자면
‘Tat tvam Asi ‘이다.
역시나 아직도 모자란 단어들의
조합……
마음은 다만 집착과 현혹의 습관적 패턴 때문에 잠시 혼란에 빠졌을 뿐이다. 제대로 길들여지지
않은 마음은 끝없이 이어지는 자신의 움직임 속에 서 무엇인가 안정된 지점을 끊임없이 잡아보려 하거나, 사고, 감정, 개념들에 마치 단단한 바탕이 되는 양 끊임없이 매달리려고
한다. 이런 습관들이 모두 사라지고 더불어 우리가 그런 습관을 버리는 법을 배울 때, 자신을 알아보고 자신의 경험을 비추어보는 마음의 자연적 속성은 빛날 수 있다.
이것이 지혜 또는 성숙, 즉 프라야나Prajana의
시작이다,
몸의 인지과학 The Embodied Mind Chapter2 인간 경험이란 무엇인가? 지관의
방법을 통한 경험탐구 프란시스코 바렐라 Francisco Varela 지음 감영사 간 2013.7
내가 그러거나 말거나 세상의
나날들은 여전히 달을 옮겨가고 있다. 새해도 1달이 지나고
입춘이라는 절기도 지나고…… 태양을 향한 채 돌아가는 이 땅덩어리는 그 조그만 거리상의 변화에도 지표면에
커다란 흔적들을 남기고 지나간다. 지구온난화라고 표현되는 그 현상들이 지구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인지
그저 수억 년 동안 늘 그렇게 순환되어온 나날들이 반복되는 과정일 뿐일 수도 있음에도 그렇게 수선 떨며 요란스런 ‘지구온난화’란 이름을 붙인 것인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백 년도 못사는
인간들에게 요즘의 변화는 놀라운 이변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