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콘크리트 기사.산업기사 4주완성 필기 - 개정12판, CBT시험대비 실전테스트 제공
정용욱 외 지음 / 한솔아카데미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솔아카데미에서 [ 2025년 콘크리트 기사·산업기사 4주완성 필기 ] 교재를 출간하였다.

콘크리트기사(산업기사)는 토목 계열로 공부 난이도가 쉽지 않은 종목 중의 하나인데 어떤 구성으로 4주완성이 가능한지 궁금하다.



외관은 초록 바탕의 디자인으로 2024년도와 비교해봤을 때 큰 변화는 없는 것 같다.

교량 그림이 콘크리트 관련 도서라는 것을 나타내주는 듯 하다. 



콘크리트 기사·산업기사 필기 출제기준 적용기간이 2025.1.1~2027.12.31 까지이다.

직무내용, 필기과목과 항목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출제경향분석 빈도율을 통해 각 과목의 단원 중 어떤 부분이 자주 출제되는지 미리 확인해볼 수 있다.

1과목: 콘크리트 재료 및 배합

2과목: 콘크리트 제조, 시험 및 품질 관리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계산문제에서 계산기 사용은 필수적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종인 카시오 fx-570ES 모델 기준으로 SOLVE 사용법이 설명되어 있다.

SOLVE 기능은 방정식의 미지수 값을 구하는 기능이라 생각하면 된다.

각종 기호와 단위에 대해서도 정리가 필요한데 알아두기에서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본격적 학습 전에 숙지하는 것이 좋다. 



이론부분이 누군가에게 설명하듯 아주 자세하게 풀어 설명해서 좋았다.

암기해야 할 내용이나 공식들은 표나 음영을 활용, 시각적 효과를 주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



각 단원의 파트별 이론 설명이 끝나면 바로 핵심문제를 풀 수 있다.

이 방식은 이해도를 증진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이론 학습 후 바로 문제를 풀도록 한다.

모두 기출문제 구성으로 문제 풀이 횟수를 체크할 수 있는 네모박스(3회독 기본)가 있어 진도 체크하기 좋다.

또한 몇년도 기사·산업기사 기출문제인지 표시되어 있어 출제빈도 확인이 용이하고, 필요한 문제를 선별해서 풀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해설도 자세하기 때문에 반복 학습하며 잘 정리하도록 한다.



이론과 단원별 기출문제를 통해 충분한 학습을 하였다면 이제 실전 과년도 기출문제를 풀어볼 차례다.

문제복원이 잘되어 있고, 실전감각을 기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기사와 산업기사 모두 복원문제 포함 2018~2024년까지 총 7년치의 과년도 출제문제가 제공되고 있다. 

단원별 기출문제와 마찬가지로 네모박스(3회독 기본)를 통해 몇 회 풀었는지 진도 체크를 할 수 있고, 출제빈도도 알 수 있다.

해설이 자세하기 때문에 별도 이론을 참고하지 않아도 이해하기 용이하다.


-------------------------------------------------------------------------------------------------------


이론 및 단원별기출문제,  과년도기출문제까지 모두 학습하였다면 한솔홈페이지를 통해 CBT 모의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한다.

책 뒷표지에 제공되는 쿠폰번호를 홈페이지에 등록하면 CBT 모의테스트에 응시할 수 있다.


홈페이지 주소: https://www.inup.co.kr/center/main/main1.jsp


모의테스트는 책에서 제공되지 않는 2015~2017년 기출문제도 제공되므로 10년치를 보고 싶은 분들은 꼭 확인하도록 한다
.


------------------------------------------------------------------------------------------------------


★ 필기과정이 어떻게 4주완성이 가능한지 위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한다.

1주차: 핵심이론과 문제 중심 학습

2주차: 핵심문제 중심 학습

3주차: 과년도 문제 학습

4주차: 반복 학습


위와 같이 단계별 학습으로 4주만에 시험공부를 마무리하고, 콘크리트 기사·산업기사 필기시험을 합격하고 웃어보도록 하자!



☞  '서평단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