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반역실록 -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역사,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는 그 기록. 반역, 나라와 겨레를 배반함. 역사에 대해 공부해본 사람은 알 것이다. 반역도 역사에 일부지만,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관점의 역사는 오직 승자 위주의 기록이라는 것을. 때문에 오늘은 짧게 배워왔던, 혁명과 반역의 기로에서 반역 이라는 이름을 걸게 된 인물들의 ‘역사’를 담은 책. “조선반역실록”에 대해 짧게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변화에 피가 필요한 것인지 피가 변화를 부르는 것인지 나는 알 수 없게 되었다”
적어도 이 책을 다 읽고 난 뒤의 마음은 그러했다. 물론 역사엔 다양한 변화에 대한 기록들이 존재한다. 선한 정책으로 백성을 구휼하고자 했던 왕의 기록, 악한 정책으로 백성의 고혈을 빨아먹는 탐관오리들의 기록. 하지만 그런 국지적인 변화가 아닌 세대를 뛰어 넘거나 새로운 이름을 시작하는 역사에는 꼭 피가 따랐다. 왕건이 고려를 세울 때 궁예를, 이성계가 조선을 세울 때 공양왕을. 자신들의 의지를 관철시키기 위해 피를 기꺼이 수반했다. 더 큰 역사적 흐름을 보았을 때, 조금 다를 수는 있겠지만, 반역을 다룬 “조선반역실록”을 읽은 후에 그 피는 좀 더 오롯한 색으로 한구석에 자리 잡았다.
이야기의 시작은 이성계로 시작한다. 첫 문장에서 작가는 화두를 던진다. “이성계는 역적인가? 혁명군인가?” 단순한 관점의 차이다. 조선사엔 혁명가로 기록되었을 것이고, 고려사엔 역적으로 기록되었을 것이다. 이런 사소한 질문은 다소 일방향적인 역사만 배워왔던 나에게는 굉장히 신선한 질문이었다. 역사는 승자에 의해 기록된다. 자본주의에서의 논리와 아주 비슷하다. ‘승자가 살아남은 것이 아니라 살아남은 것이 승자’인 것처럼 기록된다. 때문에 이성계도, 이방원도 살아남았기 때문에 승자로서 역사의 일면을 장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조선반역실록에는 다양한 인물들의 반역이 기록되어 있다. 이성계를 시작해 우리가 익히 아는 수양대군, 이시애의 난은 물론 충직한 장군의 상으로 살았지만 죽어간 남이. 정여립등의 이야기도 수록되어 있다. 가장 흥미롭게 읽었던 인물은 아무래도 허균이다. 보통의 역사에서 기록된 허균에 대한 지식 및 알고 있던 기억은 ‘홍길동전’. 최초의 한글 소설을 쓴 작가로서이다. 하지만 조선반역실록에선 그의 정치꾼으로서의 면모와 인물상등에 대해 면밀하게 알 수 있었다.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그가 홍길동전 같은 글을 쓰고도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그의 관직이나 지위가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하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반역. 매혹적이면서도 위태로운 단어이다. 위를 꿈꾸고 개선을 꿈꾸는 야심가들과 그의 세력. 달콤한 권력의 맛과 수많은 밀고 당기기들. 제3자의 눈에서 바라본 반역은 단순히 그 단어로서 치부될 것이 아니라 차라리 반역사라고 일컫고 싶을 정도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었다. 정사의 담백함도 알면 알수록 매력적이다. 하지만 그 정사의 이면에서 바라보는 반역의 역사는 탄산이 잔뜩 들어간 음료처럼 달콤하면서도 짜릿하다. 역사와 인간의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사람에게는 꼭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