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에 퍼득이는 수면은 재빠르게 페이지를 넘긴다
여기 달 귀퉁이는 언제나 접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절망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1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최종술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침대에 앉아 휘둥그레진 눈으로 그 페이지를, 도대체 내가 쓴 - 아니다, 내가 쓴 게 아니다, 내 기이한 협력자가 쓴 것이다 - 구절을 노려보았다. 이미 돌이킬 수 없음을 잘 알고 있었다.
(...) 그토록 주도면밀히 계획된, 그토록 주도면밀히 집필된 내 작품이 내가 저지른 실수 때문에 이제 모조리 내적으로, 본질적으로 파괴되었다는, 쓰레기 더미가 되어버렸다는 의식, 바로 이 생각이 나를 찔러댔다. (...) 실로 모든 게 바로 실수가 있을 수 없음에 기반을 두고 있었소. 그런데 지금 보니 실수가 있었소. 게다가 그게 어떤 실수요? 아주 하찮고 우스꽝스럽고 조악한 실수가 지금 드러난 거요. 들어봐요, 들어봐! 나는 경이로운 내 작품의 잔해를 지켜보며 서 있었소. 그러자 날 인정하지 않은 군중이 옳았는지도 모른다고 역겨운 목소리가 내 귀에 대고 소릴 질러댔소. 그래요, 난 전부 의심하게 되었소. 핵심을 의심하게 된 거요. 그리고 길지 않은 여생을 온전히 단 하나, 이 의심과의 헛된 싸움에만 쏟게 되리라는 사실을 알아버렸소. 나는 사형수의 미소를 지었소. 그리고 고통스러워 비명을 질러대는 뭉툭한 연필로 첫 페이지에 재빨리 그리고 단호하게 ‘절망‘이라는 단어를 썼소. 이보다 나은 제목을 찾을 수 없소. p.225
-
중요한 장면에서 숨을 참고 움찔하게 만드는 나보코프의 매력을 느꼈다. 오늘 이 하루를 짧고 굵게 압도한 이 작품.

예술가가 주도면밀하게 잘 짜여진 작품을 만들어 나갈때. 아니, 한 사람이 체계적으로 실수란 없는 삶을 살아 보겠다고 했을때. 곧 이어 마주하게되는 곳곳의 허점들. 그 어쩔 수 없는 균열들이 초래하는 붕괴와 절망.
-
다시 커튼을 걷었다. 서서 바라들 본다. 그들은 수백, 수천, 수백만. 그러나 완전한 침묵. 들리는 건 숨소리뿐. 창을 열고 짤막한 연설을 한번 해볼까. p.235
-
남은건 군중뿐. 그 시선과 침묵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 모르는 사이 문학과지성 시인선 477
박성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해 여름 이웃에게 평판 좋고 친절했던 아들은 어머니의 목을 졸랐고, 옆집에 사는 중국 여자는 강간을 당했다 완강하게 저항하던 그 소리들을 오해하면서, 나는 수차례 자위를 하다가 잠이 든 적도 있다
(...)
인파 속에 종종 어깨를 묻으면, 묻고 싶은 질문들도 때마침 사라져갔다
p.77 <왜 그것만을 요구하지 못했을까>
-
로맹가리의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에 수록된 단편 <벽>이 떠오르는 구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열린책들 세계문학 233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나 나는 자유로웠다. 나 자신을 위해 온 하루를 쓸 수 있었다. 교외의 오래된 낡은 집에서 조용하고 아름답게 지냈고, 내 책상 위에는 니체가 몇 권 놓여 있었다. 니체와 함께 살았다. 그의 영혼의 고독을 느꼈다. 그를 그침없이 몰아간 운명의 냄새를 맡았다. 그와 함께 괴로워했다. 그토록 가차없이 자신의 길을 갔던 사람이 존재했다는 것이 행복했다.
- 헤르만 헤세, <데미안>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 인생의 이야기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엘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법의 공통된 철학에 의해, 즉 같은 문법적 기능에 의해 처음부터 무의식적 지배와 지도로 철학 체계가 동질의 전개와 순열을 이루도록 정해져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동시에 세계를 해석하는 데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는 길이 막혀 있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우랄알타이어에는 주어의 개념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데, 이 언어권 내의 철학자들이 인도 게르만족이나 회교도와는 다른 눈으로 ‘세계를 바라보고‘, 다른 길을 걸어가고 있음은 있을 법한 일이다. 어떤 문법적 기능에 속박되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생리적 가치 판단과 인종 조건의 속박이기도 하다.
-
니체의 <선악을 넘어서>를 읽다가 테드 창의 <네 인생의 이야기>가 생각나서 니체의 구절을 적어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