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8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왜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을까? - 윤상원 vs 전두환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9
이계형 지음, 남기영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음과모음에서 나온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제 59권 이계형 글/ 남기영 그림의

왜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을까?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표지의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총을 든 군인 앞에서 아무런 무기도 없이 민주화를 부르짖는 학생과 시민들

무지무지하게 살벌함이 느껴지고, 유독 뒤짐을 지고 있는

사람은 웃는 표정으로 어떤 생각을 하는지 궁금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책의 차례입니다.

억울하게 죽은 영혼 중 주인공인 윤상원은 법정에 나와 어떤 억울함을 이야기하고

죽은 영혼들을 대변해서 상황을 어떻게 설명해줄까요.

한국의 시대사와 세계사의 연표를 비교해 가며

책을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되었답니다.

박정희 대통령의 독재 정권이 끝난 후 최규하 대통령이 정치를 할 때

바로 전두환이 보안 사령관 겸 중앙정보부장으로서

12.12랑 5.18을 주물러 대통령이 되었지요.

책에 나오는 주인공들입니다.원고 측 대표인 윤상원은

계엄군의 총에 맞아 죽어 억울한데다가 5.18 민주화 운동의 진실을

알리고자 영혼 재판을 추진하게 됩니다.

원고 측 변호사를 맡은 명석환,당시 육군 참모 였던 정승화

피고 전두환, 피고 변호사 모호한 등 증인들도 나옵니다.

옛 사진이 보여주듯이 참옥했던 현장은 이루 말 할 수 없었습니다.

민중화를 부르짖은 시민과 학생들에게 폭력을 가담하여

무차별하게 짖밟은 현장을 언론과 방송을 통제하고

오히려 광주 시민들을 폭도하고 대대적으로 보도하게 하여

불순한 세력으로 만들어 버렸으며,심지어 북한 간첩의 지령을

받은 것이라고도 했으니 얼마나 억울하겠습니까...

과연 영혼 법정에서는 어떤 판결이 나올까요?

5.18 민주화 운동을 민중 항쟁 또는 폭동,사태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들었는데 이런 말들이 모두 사라지고 민주화 운동으로 빨리

자리매김이 되었으면하고 바랍니다.

이 책에서는 어려운 낱말은 책 모서리에 따로 풀이해 놓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책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한 걸음 더! 역사 논술이지요.

초등학교 5학년인 아이가 읽고 쓰기에는 약간 어려운 생각이 들었지만

아이가 책을 여러 번 읽고 다시 도전해 본다고 하니

너무나 기특하였고 한국사를 사회과목에서 공부하고 있는 아이에게

너무나 좋은 책과의 만남이였고 아이가 책을 읽고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고 하니 저 또한

너무나 기뼜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사람들은 명품을 살까? - 베블런이 들려주는 과시 소비 이야기 경제학자가 들려주는 경제이야기 15
김현주 지음, 윤병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음과모음에서 나온

경제학자가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제 15권인

김현주 지음/윤병철 그림의

왜 사람들은 명품을 살까?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제목부터가 제 마음을 확 끌었습니다.

사람들은 왜 명품을 사고 목을 메는지 저는 어렴풋이

과시라고 생각하지만 과연 이 책에서는 어떻게 이야기가

진행될지 너무나 궁금했습니다.

이 책의 차례입니다.

베를런이 들려주는 과시 소비 이야기로

경제를 전반적으로 이야기하고

고전 속 경제와 교과서를 만나 이야기를 하고 있어

아이들에게 일석이조의 책이였습니다.

과시 소비라는 경제 용어를 유행시킨 주인공 소스타인 베를런

당시에는 주요 경제학자로 인정 받지도 못했지만

21세기 현대 사회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방향을 제시했기에

오늘 더욱 관심을 끄는 인물이지요.

유한 계급론이라는 책을 통해 원시 사회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비생상적 특권 계급인 유한계급의 역사와 특성을 기술하였습니다.

이 책은 어려운 낱말 풀이와 교과서에 사용되는 부분을

따로 박스로 정리해 놓아 아이들이 보기 좋았습니다.

우리는 나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남들과 다른 자신을 과시하기 위해서 소비 행위를 한다고 합니다.

사람들의 심리 이면에는 부자들에 대한 부러움과 존경심이 있습니다.

각종 로비와 불법적인 탈세 해위,부당한 해고 등

기업의 비도덕직인 부의 축적 과정을 지켜보면서도 부자는 여전히

사회에서 존경받는 위치에 있습니다.

많은 하람들이 부자를 비판하기보다는 그를 따라 하고 그와 같은

위치에 서고 싶어 합니다.스스로의 처지를 비하하면서...

우리는 야만적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고

다수의 생산의 주체들이 소수 부자위 비도덕성에 분노하지 못하고,

비판하지 못하고,견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지금 우리의 숙제는 스스로

상류층에 대한 망상에서 벗어나 사회를 비판적으로

마주할줄 아는 태도를 갖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8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