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Miracle 2
김재한 외 지음, 김봉석 해설 / 시작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조심스럽다. 단편집은 책자체를 평점을 매기는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왜냐면 그중에서 수작도 있고 졸작도 있는데 단지 통일적인 별매기기로 수작까지 깎아내리는 우를 범할소지가 잇기때문에 그래서 몇가지 단편만 평가하고자하는데...  

장르문학쪽 습작생으로써 이 책을 감상한 의견은...   

- 수작 : 상아처녀, 목소리  

- 졸작 : 용의비늘 , 윈드 드리머

그외 단편들은 그냥 그저 그런 범작이다. 특별이 머리에 내용이 남지 않으니..  

 상아처녀는  가장먼저 나오는 단편인데 읽고 나서 그나마 약간의 감동이 있어 이 단편집 자체에 큰 기대를 갖게했던 작품이었다.   용과 엘프가 나오는 판타지가 아닌 진정한 의미의 환상문학(어쩌면 SF일수도 있는데)에 부응하고 그 독특한 분위기와 몰입도가 장르문학의 습성에도 잘 부합한다. 사실 썩 완벽한 작품은 아니다. 그러나 종이에 인쇄되어 출판되어 독자들에게 돈 받아도 괜찮을 정도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목소리는 이 단편집에서 그나마 가장 좋은 작품이라 판단된다.(그러나 어디다 내놔도 최고라는 뜻은 아니다.) 중국기서를 읽는듯한 익조틱한 분위기도 장르문학이 보여줘야할 본질과 부합되고 몰입도 또한 좋다. 기존에 경험할수 없었던 전혀 다른 스타일의 문체는 확실히 이 단편의 장점이고 고어체 문장또한 무리없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전체적인 스토리는 객관적으로 평가할때 단순하고 상투적인 플롯이라 해야하나. 생경한 문체나 문장구사법이 재밌다는 점에 묻혀 일반 독자들은 자칫 이를 간과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괜찮긴한데 별 특별한 스토리는 아니라는 뜻이지 시시껍절한 이야기는 아니다는 점을 첨언하고 싶다.

 다음은 용의비늘이다.  심하게 말하면 이 단편은 어떻게 이런 수준가지고 문자화되서 출판이 될수있을까 싶었다. 인터넷에서 문장수련은 기본도 안되있는 고삐리들이 이영도소설 및 다른 외국 드래곤난립류의 판타지에 급작스레 삘받아서 퇴고도 없는 자동기술법으로 자기 블로그에 연재랍시고 그때그때 내키는대로 쓰다가 포기한 글을 보는것같은 기분이었다. 등장인물의 상투적인 설정, 대화처리미숙, 흔해빠진 모험류플롯, 판타지매니아가 아니더라도 이젠 누구나가 다 알고 있는 왕국이니, 용이니, 출생의비밀을 가진 등장인물 류의 닳아빠진 설정. 그보다도 가장 내 눈에 거슬렸던 것은 이 단편이 중 장편수준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을 보이는 스토리를 지나치게 압축해서 단편으로 짜맞추어 넣으려다 보니 이야기의 완급조절이 불규칙하다는 점이다.  즉 단편의 미덕이라 할수 있는 인생의 총체가 아닌 단면을 보여주어 강한 임팩트를 추구하여야 하는데에 익숙하지 못한 초보작가들이 방대한 에피소드를 처음부터 끝까지 단편에서마저도 다보여주려는 욕심때문에 쉽게 저지르는 실수를 전형적으로 답습하고 있다. 칭찬할만한게 사실 내 눈엔 없었다.  아. 딱 한가지 좋았던 점은 이정도 수준으로 작가라고 책을 낸다면 나도 지금껏 써논 단편 몇편 들고 '시작'출판사에 편집장 만나도 되겠다라는 자신감이 급 충만해지더라는 점이다.(물론 내 기준으로 내 졸작들은 자격 미달이라 현재 그럴생각은 없다) 그거외에는 없다. 이작가가 다른 단편집에 올린 작품이 있나 찾아봣는데 역시 단 한편도 찾아볼 수 없었다. 당연한거 아닐까?  

윈드 드리머. 사실 그렇게 졸작은 아니다. 그런데 너무 쉽게 결말이 예측되어서 재미가 없었다고나 해야할까. 문장흐름등은 괜찮았다. 하지만 역시 상투적인 판타지류 인물설정과 세계관은 쫌 거슬렸다. 결말이 너무쉽게 예측되니 이야기 흐름중에 이걸 내가 계속 읽어야하나 하는 생각만 들었을 뿐이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까.. 하고 끝까지 읽어나갔지만 결국 허탈감만 안겨줬다. 그래서 인상이 안좋은 단편이다. 마지막에 그걸 타고 하늘을 날아 도망가는 장면은 제목처럼 꿈같은 장면이라기 보다는 뒤에 있을 더 큰 비극을  내게 암시하는듯 했다. 그래도 어디론가 착륙은 하긴 해야할텐데 이제 그들은 다 잡혀 역적으로 죽는건 시간문제구나... 내 머릿속에는 그 생각뿐이다. 그 불안감은 작가의 의도는 아닌듯 하다. 결말이 이렇듯 좀 개운치 못하다.

 그리고 그다음 그외에 위에서 분류하지 않은 그저그런 작품중에 언급하고 싶은 단편 중 Best와 Worst는 

Best는 '세계는 도둑맞았다'이다.  마법을 현대와 미래까지 끌어들여 시대를 주도하는 주류로 자리잡아 놓았다는 것은 독특한 발상이다. 여기까지만 하겠다. 나머지부분은 그냥 언급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Worst는  '과거로부터온 편지'이다. 이 작가는 문장력이 너무 빈약한거 같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으악~ 쿵! 꽈당.. 이런류의 의성어, 감탄사를 자주 남발하면 글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유치해지는 사실을 모르는것 같다. 이건 인터넷 고등학생들 자동기술법연재 판타지소설등에 흔히 보이는 점이다. 그리고 나는 책을 읽을때 좋은 문장은 밑줄을 그어 메모해 두어 내 습작에도 가끔씩 활용해보곤 하는데 보통 아무리 망작도 한두줄 정도는 그어져 왔다. 그런데 이 단편은 밑줄이 하나도 그어지지 않은 유일한 단편이다. 쓸만한 문장이 단 한줄도 없었다. 스토리 부분은 마지막 결말을 첫 시작부분과 어떻게 이어보려 애쓰려 한듯 같은데 본문내용과 인과적인 부분은 느껴지지 않았다. 좀 억지스럽다고 해야하나. 사실 왜 그렇게 결말이되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 그 근거는 글이 길어질거 같아서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책 말미에 해설을 붙인 김봉석이라는 대중문학평론가의 글... 참 이양반 글쓰면서 영혼을 팔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같지도 않은 작품에까지 미사려구를 갖다붙이며 책팔리게 도와줘야할 입장으로 글을 써야하니.. 얼마나 괴로웠겠는가?  실제로 보니 내가 별로라고 생각한 작품은 참 인위적으로 쓴듯한 느낌이 적나라하게 보였다. 안나가는 글빨로 억지로 쓴 흔적이 다 보였다는 뜻이다. 나보고 그런 마음에도 없는 찬양글 쓰라고 한다면 어지간한 고료를 받고서는 도무지 머리에서 헛구역질이 도져 포기할것 같다.

이것으로 마치고 마지막으로 본 감상평은 지극히 제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