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가게에서 진심을 배우다 - 한 번 오면 단골이 되는 고기리막국수의 비결
김윤정 지음 / 다산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국수를 좋아하지 않는다.

밀가루 음식을 거의 입에 대지 않는 사람이라, 밀가루로 만든 음식은 빵부터 시작해서 각종 음식들은 내돈 주고 사먹는 경우가 거의 없고, 어쩔수 없는 상황(회식, 모임 등)에서만 먹는다. 밀가루 음식을 굉장히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가 전혀 공감을 하지 못하는 말 중 하나가 '밀가루 음식이 너무 맛있어서 빵 같은 것을 끊지 못한다'라는 말일 정도로, 심지어 국민 음식이라는 라면도 일년에 몇 번 안먹을 정도로 밀가루 음식은 나에게 먼 음식이다.

그래서 처음 이 책의 소재가 '국수'라는 것을 알았을 때, 국수=밀가루 라는 고정관념이 강해서, 하얀 소면이 즉각적으로 떠올랐다. 이정도로 국수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다 보니, '막국수'라는 명칭을 보았을 때 막국수가 뭐였더라? 하는 생각이 들었다. 흰소면을 비벼먹는게 막국수였나? 뭐였지?하며 결국 인터넷 검색을 해봤다. 아! 맞다! 이런 국수도 있었지! 검색 이미지로 나온 것은 소바와 비슷한(?) 갈색 메밀면이었다. 워낙 외식, 배달을 하지 않고, 특히 국수 메뉴는 직접적으로 사먹어본 경험이 거의 없다보니 국수하나가 이렇게 헷갈릴 줄이야.

어쨌든, 막국수 하나로 그런 외지에서 장사를 시작했다고?

장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상권, 장사 터라는 이야기를 귀에 못이 박히게 들었던터라, 그시절 교통도 좋지 않은 고기리에서 막국수 메뉴 하나로 하루 한 그릇에서 시작해서 하루 1000그릇을 파는 가게가 되었다니 믿어지지가 않았다. 요즘 유튜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진위여부를 알수 없는 너도나도 창업해서 월 천만원, 월1억 벌기 인증 같은 느낌이었다.

하지만 책을 읽는동안, 고기리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상황, 메뉴 개발을 위한 과정, 손님들을 대하는 진정성 등 하루 1000그릇을 팔기까지의 수많은 고민과 노력을 정성스럽게 써내려간 문장들에서 간접체험을 하면서 이러니 성공할 수 밖에 없겠구나 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특히, 가게와 관련된 정말 작은 하나까지 그냥 지나치치 않고, 수정하고 보완하고 확인하는 그 행동들, 어떤 마음가짐으로 음식을 만드는지를 읽어내려갈 때는, 들기름막국수의 사방에 퍼지는 들기름 향처럼, 저자의 이런 진심어린 마음의 향을 맡고 손님들이 단골이 되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오랜 시간 동안 장사를 해오면서 정말 많은 난관을 경험했을 저자겠지만, 책에는 그런 난관들을 극적으로 표현해놓기 보다는 최대한 다루는 대신, 오히려 많은 악조건 속에서 어떻게 가게를 끌어왔는지에 대해 솔직담백하게 기술되어 있어 입안으로 후루룩 빨려 올라가는 국수면발처럼 읽히는 책이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막국수에 대해 알리고 싶다고 했는데 그점에서는 100% 성공한 것 같다. 나같이 국수 HATER에 가까운 사람이 고기리막국수 집을 찾아가볼 생각이 들어 지도를 검색하게 만들정도였으니 말이다.

올해가 가기 전에, 한번 꼭 들기름막국수를 먹으로 고기리막국수에 가봐야겠다. 들기름막국수가 무슨 맛인지도 무척 궁금하지만, 이런 생각으로, 이런 정성으로, 이런 진심으로 음식을 만드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무척 궁금해졌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