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우리는 여성, 건축가입니다
데스피나 스트라티가코스 지음, 김다은 옮김 / 눌와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를 셰플러는 1908년에 자연의 섭리를 거슬러 무모하게 예술적 생산성을 좇는 여성은 그 대가로 여성성을 잃게 된다. 그 결과 "과민한 자웅동체"가 되어 당시 여성 예술가 사이에 "끔찍하게" 퍼져있다고 경고된 동성애에 빠지기 쉽고 지나친 성욕 때문에 매춘 여성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라고 책에 적혀있다.

백 년 하고도 십 년 전에는 이러한 성차별을 비롯한 다양한 무례한 말을 했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다. 자신의 논문에서 이러한 자신의 목소리를 이야기한다는 게 "끔찍한"글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남성과 여성 모두 평등한 업계를 이루어야 건축적 재능을 보존하고 건축업을 발전시키며 건축의 가치를 사회에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평등은 모두의 문제"이다>라고 이야기한 문장을 보며, 앞서 글에 나온 남성 역시 이러한 차별에 깨어있고, 당연히 사라져야 한다는 것에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책을 보며, 건축업이 차별이 만연한 직종임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최근에는 알쓸신잡을 보며 김진애 건축가님의 이야기를 여러 접할 수 있었는데, 자신이 대학 다닐 때만 해도 공과 대학건물에 여자 화장실이 없어 같이 사용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러한 눈에 보이는 차별은 그래도 점차 사라지고 있음을, 그러나 임금이나, 고위직 자리에는 여성이 없음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유리 천장이라기보다 업계로 나가지 못하게 쥐고 틀어막는 거대한 병목에 비유하는 편이 적절하다>라는 문장을 보고서는 한숨만이 나왔다. 자신이 배우고 싶은 건축을 아예 하지 못함을, 이 사회가 가로막고 있음을 이야기해주는 것 같았다.

 

책을 보며, 왜 우리는 건축가라고 하면 남성만 떠올리는가에 대한 의문점이 많이 풀렸다. 대체로 유명하다고 하는 건축가들은 거의 남성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점차 나아지고 있음을, 평등을 이루려고 남, 여 모든 성이 함께 손을 잡고 있다는 사실을 보면서, 건축업이 더는 남성의 전유물이 아닌, 여성도 있다는 사실을 널리 알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카를 셰플러는 1908년에 자연의 섭리를 거슬러 무모하게 예술적 생산성을 좇는 여성은 그 대가로 여성성을 잃게 된다. 그 결과 "과민한 자웅동체"가 되어 당시 여성 예술가 사이에 "끔찍하게" 퍼져있다고 경고된 동성애에 빠지기 쉽고 지나친 성욕 때문에 매춘 여성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평등한 업계를 이루어야 건축적 재능을 보존하고 건축업을 발전시키며 건축의 가치를 사회에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평등은 모두의 문제"이다>

<유리 천장이라기보다 업계로 나가지 못하게 쥐고 틀어막는 거대한 병목에 비유하는 편이 적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국, 느리게 걷다 - 고즈넉한 여유와 낭만이 공존하는 특별한 여행지, 내셔널트러스트
오윤석 지음 / SISO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영국의 네셔널 트러스트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저자를 따라 함께한 시간이었다.

자연과 건물, 그리고 현대의 우리들이 함께해야

우리의 역사와 자연을 지킬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였다.


영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책을 써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작가의 생각과 사진을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국가의 모습들로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다들 늦었다고 생각하는 시기에 이러한 도전과 용기에 대해 극찬을 보내고 싶다.

20대의 나이에도 걱정되고 고심하는 나와 달리

그는 도전했기 때문이다.

저자가 행했던 영국의 네셔널 트러스트를 따라 나도 한번 여행해보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윤석 2018-12-03 0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독자님!
책《영국, 느리게 걷다》의 저자 오윤석입니다. 저의 책에 이렇게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내주신 조언 그리고 칭찬을 마음속에 새기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시고 앞으로도 내셔널트러스트도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2018.12.03.
오윤석 올림
 
우리가 꿈꾸는 나라 지혜의 시대
노회찬 지음 / 창비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평등, 불공정, 전쟁을 소멸시키는 것이 우리의 소명이라며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평등과 공정, 평화라며
민의를 반영한 정치가 일상이 여야 한다며
사회적 소수자와 약자를 존중하며
더욱 정의롭고 깨끗한 나라를 꿈꾸며

그를 다시한번 추모한다
그의 목소리를 우리가 내자
세상을 평화롭게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