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만지지 마라 - 몸의 들림에 관한 에세이
장 뤽 낭시 지음, 이만형 외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막달라 마리아가 예수의 무덤을 찾아갔다. 그러나 무덤은 텅 비어 있었고, 무덤 곁에는 두 천사가 앉아 있었다. 그들은 마리아에게 왜 우느냐고 물었다. 마리아는 예수를 찾는다고 답했다. 그렇게 말을 마치고 뒤돌아보자 묘지를 관리하는 정원지기가 있었다. 정원지기도 그녀에게 왜 우는 것이며 누구를 찾는 거냐고 물었다. 마리아는 무덤이 비어 있으며, 당신이 그를 옮겼다면 그 장소를 알려달라고 부탁했다. 그러자 정원지기가 ˝마리아야!˝ 하고 불렀다. 그러자 마리아는 무덤지기에게 ˝라뿌니!Rabbouni!˝ 라며 응했다. 마리아가 예수를 알아본 순간, 예수는 말한다.

“내가 아버지를 아직 뵙지 못했으니, 나를 만지지 마라”

그리스어 ‘hapto‘에는 ‘만지다‘라는 의미와 함께 ‘붙들다‘라는 뜻도 있다. 만지는 행위는 곧 붙드는 행위로 매끄럽게 이어진다. 나의 손가락을 세워 타인의 살 위로 얹고 나면, 그러고 나서 손가락을 접고 놓지 않으면, 붙들고 있게 된다. 그러한 포박 행위가 생기기 전에 예수는 만지는 것조차 하지 말라고 말한다.
하지만 나를 만지지 말라는 문장 속에 ‘만지다‘라는 표현은 이미 ‘만짐‘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는 그 표현을 떠올리는 순간 감각적 표상에 의해 만지는 이미지를 머릿속에서 생성해낸다.

˝이 표현은 접촉하는 동작 일반을 언표하고 있는 것이다. 혹은 접촉이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지점을 만지고 있는 것이다. ‘만지다‘라는 동사가 구성하고 있는 바로 그 지점을 말이다.˝

‘만진다‘라는 발화와 함께 우리는 이미 머릿속에서, 시야 속에서 상대를 만지고 있는 ‘지점‘이 있다. 하지만 더욱 엄밀하게 말하면, ˝‘만지다‘라는 동사가 범접하고 있지 않은 지점, 접촉을 시행하기 위해서 [아직] 접촉이 일어나서는 안 되는 지점이다.˝ 만지고 있으나 만지고 있지 않은 지점, 만지다, 라는 표현이 끌어모으는 모든 표상을 분리시키는 지점, 즉 만져지는 것에 대한 표상적 접촉과 실제적인 접촉 동작 자체를 분리시키는 선線이다.
만약 감각적 표상이 선을 넘어서 그대로 접촉으로 이어진다면, 그래서 마리아가 아버지께 돌아가려는 예수를 붙잡는다면, 떠나감으로써 완성되는, 그러나 불완전하기에 계속해서 완성되어야 하는 그의 부활을 막는다면, 낭시가 예단한 또 다른 해석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것은 포착, 고착, 접착, 더 나아가 그것을 특정한 사물 속에 가두고 사물을 그 자신 안에 가두어, 그것들을 맞물리게 하고 서로 상대방을 제것화화하고 동시에 상대방 안에서 적응되는 응착 속에서 실물화되기 시작할 것이다. 동일화, 고정, 소유, 부동성이라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고착된 상태에서 나는 ˝자아˝로 남게 된다. 그래서 나는 그 고착된 상태, 타인에게 내어준 나 자신을 감독하며, 그것들과 나를 구별한다. 구별 가능한 조건에서 완전한 고착이란 없기 때문에 이런 역설이 생겨난다. 자아는 오히려 그런 상태에 반동하며 고착된 타자를 나에게로 동일화시킨다.
그러나 나를 내어주며 만짐을 회피한다면, 다른 곳을 만지게 하거나 다른 것을 만지게 한다면, 그리하여 만짐 자체에 결락이 생기도록 한다면, 나는 이 내어줌 자체를 마음대로 하고 있지 않게 된다. 만지되 다시 떨어지게 되고, 떨어지되 다시 만지게 되는. 상대에게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고, 좁지만 무한한 간격을 벌리는 행위. 자아는 무한히 넓혀진 거리에서 길을 잃고 타자에게 수동적으로 자리를 내어주고 만다. 아니면 계시를 실천할 수 밖에 없다.
이런 행위는 또한 애무와 다를 게 없다. 아니, 애무 그 자체이기도 하다. ˝모든 애무가 하는 일이 이런 게 아닌가? 애무에서 떨어져 물러날 때, 심장의 고동 혹은 입맞춤의 떨림이 있는데 아닌가?˝ 사랑하는 사람의 어느 부분에 입술을 댄다. 하지만 그 상태로 가만히 있게 되면 그건 더 이상 입술이 아닌 한낱 살점, 그것도 내 자신의 살점에 불과해지고 말 것이다. 입술이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옮겨가는 순간, 접촉했다가 다시 떨어지는 순간, 떨어지기 위해 잠시 머물렀던 순간이 애무를 만들어준다. 내 입술이 타인의 살결에서 떨어져 나와 허공의 간격 속에서 잠시 머무는 지점. 그 지점이 있기까지의 과정, ˝실제로는 나를 만지고 내게서 벗어나는 그/그녀, 혹은 나를 만지기 전에 내가 억제하는 그/그녀가 나로부터 (나의) 현존의 광채를 끄집어내는 것이다.˝
바디우에게 있어서 진리가 작동할 때 ‘주체‘가 생성되듯, 낭시에게는 둘 이상의 존재가 관여될 때, 그 관여 속에서 떠남이 있을 때, 진정한 ‘현존‘이 발생한다. 한 존재의 나타났다 사라짐으로 인해 사라진 자의 현존은 남는 자에게 각인된다. 하나의 존재인 나는 그와의 접촉, 또는 발성에 의해 흔들리고 있고, 얼굴로 표정을 지어 심정을 내놓을 수도 없으며, 몸이 지탱할 기반은 끊임없이 무너져내리다가 나를 다시 덮치고, 내 현존 위에 그의 떠남이 새겨져 있으며, 그런 떠남이 새겨진 현존하는 나는 떠나간 존재를 현시하고 있다.

˝그는 그 사람이 아니며, 동시에 그라는 존재, 그가 현시하는 존재도 아니다. 그는 자신의 근본적인 변성, 근본적인 부재이다. 엄격하게 말해, 그는 ‘원래의 그가 아님‘ 그 자체다.”

원래의 그가 아닐 때, 사랑이, 진리가 그에게 도래한다. ˝사랑과 진리는 만지면서 밀어내는 것이다. 그것들은 닿는 이가 누구든 물러서게 한다. 왜냐하면 접근은 만짐 그 자체 안에서 그것들이 우리 힘 바깥에 있다는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다. (중략) 그것[접촉]을 할 때조차도 그것을 잊어라. 너는 아무것도 잡고 있지 않다. 너는 누구도 잡거나 붙잡을 수 없다. 바로 그게 사랑하고 아는 것이다. 너에게 빠져 달아나는 이를 사랑하라. 가버리는 이를 사랑하라. 떠나고자 하는 이를 사랑하라.˝
사랑이나 진리에 대한 이런 서술은 살갗에 닿지 않는 관념적인 공론이 아니다. 정신은 그 자체로서 아무것도 못한다. ˝순수한 정신˝은 자기 안에서 닫힌 형식적이고 공허한 지표들만 제공하는 현존이다. ˝그에 반해 몸은 이 현존을 개방한다. 그것은 현존을 현재화하고 바깥에 내놓는다. 몸은 그것을 자신으로부터 떼내고, 그 사실을 통해서 다른 몸들과 함께 그것을 끌고 간다. 그렇게 해서 막달라 마리아는 사라진 이의 진정한 몸이 된다.˝
예수는 광휘가 휩싸이며 하늘로 올라가기 전에 마리아에게 자신에 대해 ‘내 형제‘들에게 가서 알리라고 이른다. 마리아는 그의 말대로 제자들에게 가서 자신이 주님을 뵈었다며, 자신이 예수에게 들었던 말씀을 전한다.

˝그녀는 오직 떠남일 뿐인 현존 앞에서 포기했다. 오로지 어둠일 뿐인 영광 앞에서, 오직 냉랭함일 뿐인 향기 앞에서, 그녀의 포기는 사랑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기도 하며 낙담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 둘의 동시성은 이 순간 자체의 ‘들림‘을 낳는다.ㅡ일어서면서 사라지는 들림을.˝ 사랑과 낙담은 서로 붙을듯 떨어질듯 애무하며, 동시에 수평을 그리며 함께 나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