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5 - 단종.세조실록 ㅣ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5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은 왜 사람을 기다려주지않는걸까? 단종을 보면 이 생각이 가장 먼저 든다. 성인이 될때까지 임금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면, 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피가 어디가겠는가? 세종이 칭찬까지 했던 단종이었는데.....
단종이 어려 신하들에게 휘둘려 왕권이 떨어지고 정치가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에 수양대군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말도 있는데, 그건 어디까지나 그의 입장이다. 주공처럼 단종을 곁에서 보필했어도 충분했을텐데, 그는 자신의 후손들에게 주공의 명성보단 조선의왕이라는 자리를 남겨주고 싶었던 게 아닌지?
한명회 등을 만나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김종서, 안평대군 등 반대파를 모조리 제거. 조정을 순식간에 장악해버리고서는 단종을 압박하여 결국은 자리를 넘겨받는다.
왕이 된 후의 세조의 행보엔 그리 크게 문제가 될만한게 없다. 오히려 (결과야 어찌됐건) 민생안정이라는 면에선 세종보다 세조가 더 나았다는 생각도 들고, 외교부문에서만큼은 고분고분했던 세종과 달리 큰 목소리 낼 줄도 았았으며, 사생활도 검소하고 깨끗한 편이었다.
세조가 많은 업적을 쌓았을지는 모르나, 조카를 죽이고(결국은 죽였으니깐) 그의 자리를 빼았았다는 도덕적인 면에선 자유로울 수가 없다. 저승에서 과연 아버지와 형님의 얼굴을 똑바로 볼 수는 있었을까?
무능력하고 도덕적으로 흠결 투성이인 것보다야 낫긴하겠지만.....도덕보단 능력인걸까? 세조가 명군으로 취급 받는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