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4 - 세종.문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4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갑작스럽게 왕이 된 세종. 그의 뒤엔 상왕 태종이 군사와 관련된 권한을 가지고 떡 하니 버티고 서 있었다.  세종 초기, 즉 태종이 살아있을 땐 아무래도 태종 쪽에 무게가 실려있었다. 뻥튀기 된 대마도 정벌이나 세종의 처갓집이 박살나는 것도 태종이 벌린 일 중 하나다. 

세종의 경우 세자였던 시기가 짧아 제대로 된 제왕수업을 받지 못했다. 그래서 준비되지 못한 왕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세자가 아닌 왕자였기 때문에 틀에 박힌 커리큘럼에서 벗어나 손이 가는대로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을 수 있었고 이 때의 지식들이 후에 그가 이룩할 일들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태종이 죽은 후, 본격적으로 홀로서기를 시작한 세종. 학문, 과학, 예악 등의 문과 군사훈련 무기개량 성벽 축조 등의 무에 대한 관심과 발전. 여기에 훈민정음 창제까지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쌓았다. 만능형 임금이라고 할까?

황희, 맹사성 등의 위인에 대한 진실과 세종시대=태평성대라고 생각했던 나에게 백성들의 살림살이가 썩 좋진 않았다는 이야기는 (강제 이주부터해서 화폐문제 등) 적잖은 충격을 줬다. 황금시기는 맞으나 태평성대는 아니었다라...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고 문종도 뛰어난 임금이었다. 제대로 준비된 왕이라고 할까? 세자였던 기간은 긴데 왕으로서의 재위기간이 워낙 짧고 아들 단종 또한 너무 어리다보니 요절 이미지(실제로 성종보다 더 오래 살았는데 말이다.)에 병약이미지가 겹쳐 책만 읽는 서생이미지였던 그는 이번 책을 통해 그 짧은 재위기간 동안 군사부문에 많은 업적을 남겨놓은 문약이랑은 거리가 있는 이었던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버지 세종만큼만 살았어도 좋았을걸. 아님 단종을 조금 더 일찍 얻었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