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왕(帝王)과 재상
리정 지음, 이은희 옮김 / 미래의창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고대에 권력의 정점이라고 하면 단연 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고 불리우는 재상이 있었다. 제왕과 재상은 각각 일인자와 이인자의 관계로 그들은 뗄래야 뗄 수가 없는 사이이다. 그들의 관계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서로 손을 잡고 힘을 합쳐 천하를 평정하고 각각 자신들의 자리에 만족하는 경우이다. 어진 재상과 현명한 군주의 결합은 예가 그리 많지가 않다. 주공과 주성왕의 이야기나 위징과 당태종 이야기. 바보같은 유비의 아들 유선과 제갈량의 예는 조금 의외였는데 저자는 자신의 모자람을 알고 제갈량에게 모든 일을 맡긴 유선이 그리 멍청한 인물은 아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둘째, 왕이 신하를 위협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예는 주로 개국공신과 왕 사이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천하를 통일하는 과정에선 개국공신들의 힘이 필요하나 막상 천하가 안정이 되면 그들의 출중한 능력이 오히려 왕에게 위협이 된다. 한고조 유방이나 명태조 주원장의 경우가 대표적인 예로 그들은 개국공신 대부분을 토사구팽해버렸다. 물론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를 알고 자신을 지키는 법을 알아서 목숨을 건졌던 재상들도 있다. 월왕 구천의 재상인 범려와 유방 밑에서 목숨을 부지한 소하가 그랬다.
셋째, 신하가 왕을 위협하는 경우다. 신하의 권력이 커지면 자연스레 왕을 업신여기게 되고 심한 경우는 제위를 빼앗기도 한다. 이럴 때 자신을 있는 그대로 들어내는 것은 치명적이다. 인내심 없는 자들은 결국 자기 자신을 망치니깐 말이다. 당장의 업신여김을 참아냄으로써 후에 권신들을 응징했던 강희제나 송고종의 이야기를 보면 참는것이 무능을 의미하는게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위의 방식은 내가 임의로 나눈 것이고 책에선 친절하게 처세술별로 이야기를 나눠놓았다. 어떻게 하여 권력을 얻고 잃었으며 어떻게 하여 목숨을 잃거나 지켰는지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이 나온다. 사람 사는건 예나 지금이나 똑같으니 참고가 될만한 이야기다.
이 책의 아쉬운 점은 맞춤법이 제법 많이 틀렸다는 것과 내용상 잘못된 점이 몇 가지 있었다는 것이다.(내용상 잘못된 것은 내가 아는 수준에서만 지적하겠다.) 책에선 주공이 주문왕의 아들이자 주무왕의 아들이며 주성왕의 삼촌이라는 대목이 나오는데 주공은 주무왕의 동생이지 아들이 아니다. 그리고 위명제 조예가 조조의 아들이라고 표기가 되어있던데 조예는 조비의 아들이니(조비의 아들이 아니다라는 말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걸 따르겠다.) 조조의 손자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