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에서 "고마워"라고 아이에게 말해주라는 것이 눈길을 끌었다.

마주이야기 박문희 선생님은 어른들은 아이에게 말을 많이 하면서 들어주지 않는다고 말한다. 어른들은 하고 싶은 말을 한다. 하지만 아이가 하고 싶은 말은 '쓸데없는 말' 취급이다. 그러다 보면 아이는 '하고 싶은 말'을 모르는 아이가 되어버리지는 않을까? 무엇을 느끼는지 느끼는만큼의 이야기를 말로 풀어낼 수 있는 아이로 자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이 책 <첫 번째 질문>, '첫 번째 질문'이란 무엇일까 먼저 생각해 본다. 아이가 세상에 나와 처음으로 받게 되는 질문일까. 아니면 아이가 말을 배우면서 처음으로 하게 되는 질문일까. 무수히 많은 궁금증과 그림에 대한 기대감으로 책을 펼친다.

 

빗방울을 가득 머금은 거미줄을 본 적이 있나요?

좋아하는 꽃 일곱 가지를 꼽을 수 있나요?

침묵에서는 어떤 소리가 나나요?

 

매 페이지마다 나에게 질문을 한다. 질문 하나하나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문득 생각을 하게 되는 질문들. 특히 마음에 드는 구절은 "잘 나이 들어 갈 수 있을까요?"

나이듦에 대하여 연말이 되면 늘 생각하게 된다. 사람들은 무작정 많은 나이가 싫다곤 하지만 나는 어린 나이의 나는 어리기만 한 것 같아서 싫다. 많은 경험을 하고 잘 익어 가고 있는 지금의 내가 좋다. "잘 나이 들어 갈 수 있을까요?" 나이가 들어 가고 있어도 괜찮다고 나를 토닥여 주는 것 같다.

 

아무래도 이 책은 읽을 때마다 좋을 것 같다. 읽을 때마다 나에게 콕 박히는 문장은 달라지겠지. 아이부터 어른 모두에게 좋을 책이다. 아이들과 대화하는 법을 모르는 부모들에게 적극 권하고 싶다. 사랑하는 이를 알아가고 싶을 때에도 권한다. 나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고 싶을 때 읽어도 좋다.

 

이 책을 처음 두 손에 받고 펼쳤을 때의 첫 번째 질문은 "잘 나이 들어 갈 수 있을까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강 2명] 책읽기를 싫어하건 좋아하건, 남자아이건 여자아이건, 초등학생이건 유아건 간에 옛이야기에는 확실히 아이들을 끌어들이는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 끊이지 않는 인기 비결이 뭘까 늘 고민입니다. 2명 신청합니다. 1월 14일 2강 2명 신청합니다. 김찬정 선생님과 옛이야기 한바탕 나들이 하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강 이주영 선생님 2명 신청] 아이들이 바라보는 세상과 내가 바라보는 세상이 같을지 다를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를지 늘 고민합니다. 아이들의 글을 통해 아이들의 세상을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강 최은희 선생님 2명 신청] 그림책은 아이들만 보는 것이라는 편견을 깨고 싶습니다. 최은희 선생님의 불편한 그림책을 함께 읽고 많은 어른들에게도 그림책을 전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