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세계에서도
이현석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리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소설을 마주할 때마다 나는 어김없이 망설이게 된다. 그런 류의 소설을 읽기 위해서는 사회에 대한 나의 무지와 무관심을 대면해야 하고, 그 속에 담긴 슬픔을 바라보는 것에는 마음의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현석 작가님의 ‘다른 세계에서도’는 내가 무서워하는 이야기들로만 이루어진 소설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소설집에는 도덕적 딜레마가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사회 이슈들이,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사건들이 수록되어 있고 그 주제 또한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속해서 눈을 감고 귀를 막은채로 같은 자리에 머무르고 싶지는 않았기에 일종의 두려움을 느끼면서도 결국 나는 이 이야기들을 읽어 가기 시작했다.

당연하지 않은 일들이 당연하다는 듯 일어나는 사회의 모습을 바라보며 화가 나기도 슬프기도 했지만 결국에는 무기력한 마음이 들었다.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우리 사회에 단단하게 고착화 되어 있다는 사실이 나를, 그리고 우리를 힘빠지게 만들고 있는 것 같았다.

정답이 정해지지 않은 문제들, 섣불리 판단 내릴 수 없는 문제들을 다루는 단편들을 보며 나는 자연스레 혐오가 난무한 현재를 떠올렸다.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게 불가능한 문제들 사이에서 서로를 비난하고 공격하기도, 때로는 쟁점과 관련 없는 말들로 서로를 비방하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는 그런 지금을.

종국에는 이렇게 흘러가고 마는 소통 과정을 바라보고 있자면, 길을 잃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마음이 불편하고 불쾌해진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감정들이 결국 ‘이런 상황에 휘말리고 싶지가 않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 같았다.

‘다른 세계에서도’를 완독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었다. 단편 하나를 끝내고 다음 단편으로 넘어가려면 소모된 감정을 채우는 과정이 필요했다. 너무 오바하는 거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나는 그랬다.

안타까운 일들이 단순히 ‘안타까운’ 일로 그치는 일이 반복되지 않으려면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 올바른 가치관을 지탱해 줄 단단한 마음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다시 이런 류의 소설을 만나게 되면 나는 또다시 겁부터 나겠지만 결국에는 그 소설을 집어들고 마음을 쏟아낼 수 있을 것 같다. 계속 마주하고 감정을 소모하고 슬픔을 느끼면서 마음을 단단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Drop her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