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간절하게 참 철없이 - 2009 제11회 백석문학상 수상작 ㅣ 창비시선 283
안도현 지음 / 창비 / 2008년 1월
평점 :
<간절하게 참 철없이>는 1,2,3부로 나뉘어져 있다. 특이 한 점은 2부에 나오는 작품들이 다 음식을 주제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 음식은 맵고 짜고 달다는 식의 표현을 벗어나 그 음식을 먹는 사람과 하는 사람 또 그 음식의 재료가 되는 그 무엇에 관한 이야기들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의 시적 표현은 감성을 자극하여 나에게 향수를 느끼게 한다.
<간절하게 참 철없이>는 이렇듯 언어의 미각, 후각, 청각을 자극하는 감각적인 표현의 맛을 지녔다. 또한 요리 하는 법을 나열한 <닭개장>이라는 작품은 그 장면을 상상하게 해주고 닭개장의 매콤한 향을 느끼게 해준다. 그로인해 내 어릴 적 어머니께서 해주시는 맛있는 닭개장을 기다리며 턱을 괴고 그 뒷모습을 마냥 즐겁게 바라보던 내 모습도 떠올랐다. 안도현의 음식에 관한 시들은 씹으면 씹을수록 추억이 베어져 나와 잊혀져가던 감성을 자극했다.
1부에서 안도현은 자신과 관련된 것들에 관한 시를 써놓았다. 그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독거>라는 작품에
나는 능선을 타고 앉은 저 구름의 독거를 사랑하련다.
… 중 략 …
저 구름은, 바라보는 일이 직업이다
혼자 울어보지도 못하고 혼자 밤을 새보지도 못하고
혼자 죽어보지도 못한 나는 그래서 끝끝내,
저 구름의 독거를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라는 부분이 있다. 구름에 시인이 투사되어 있다. 문예창작과 학생인 나로서는 이 구름이 타자가 될 수 없다. 그래서 더 애착이 가는 작품이다. 시인은 바라보는 것을 직업으로 한다. 그 바라본다는 것은 그것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시각을 가져야하며 평범한 표면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진실이 인간과 자연을 담고 세상의 진리와 감동을 비춰야 한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리곤 그것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시인은 여과 없이 모든 것을 바라보려 해야 한다.
사실 이 전에 시를 쓰는 것은 한 문장이 떠오르면 그것을 상상하여 언어로 풀이하는 것에 집중 하였다. 지금의 내가 수련해야 하는 것은 그것 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어의 연마뿐만이 아니라 나의 가슴도 연마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 같다. 언어의 배치와 유희도 중요하지만 그것은 가슴으로 써 내려가야 한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 이 시집으로 인하여 강한 자각이나 의식을 느낄 수는 없었지만 안도현의 바라봄의 자세로 인하여 언어에만 집중하던 내 자신에게 그 힘을 조금 빼고 모든 것들을 더 아름답고 더 슬퍼하며 더 특별하게 바라보는 내 시야를 확립하고 가슴을 함께 단련해 나가야 한다고 느끼는 바이다. 감동에도 여러 색깔이 있다는 것 또한 느끼게 해 준 시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