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수능특강 외국어영역 - 2007, 2007년 1월 29일 ~ 7월 15일
EBS교육방송 편집부 엮음 / EBS(한국교육방송공사)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이번 학년 고3올라온 수험생입니다.

수험생의 취지에서 책을 다 푼후의 총평을 말씀드리자면 결론적으로는 "만족"입니다.

일단 서론에 앞서, 근년도부터 직접적으로 수능에 ebs에서의 문제가 출제되지 않는다는 소문이
일파만파 합니다.그렇다고 한다면... ebs를 안풀어야하느냐?

생각해보십시오. 예를들어 언어영역에서 높은 정점에의 판매량을 기록중인
"오감도"나 "즐겨찾기"와 같은 문제집, 혹은 그 외에 외국어 영역에서 불티나게 팔리고있는 "특작"과 같은
문제집에서의 문제는 과연 수능에 직접적으로 출제가됩니까? 

절대 아닙니다.
그렇다면, 왜 수험생들의 입담에 저러한 문제집이 오르내리며 고평을 받는것이겠습니까?

이유는 단 하나
"수능과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출제함으로써 수능의 "연습"에 도움이 되기때문입니다.  

그럼 생각해보십시오.
보통 ebs에서 책을 집필하시는 분들의 지위는 각 유명학교 혹은 교육계 내에서 명분이 있으신분들입니다.

물론 출제자중 나이드신분들이 있긴있어 고리타분한 옛 스타일의 문제가 나오는게 흠이긴하지만

분명히 ebs 또한 위에서 열거한 문제집과 마찬가지로 "수능 연습에 도움이 되는 매력적인 문제지"
임은 부인할수 없는바입니다.

아무쪼록. 본론으로 넘어와서 책에 대한걸 말씀드리자면

ebs 외국어 영역의 장점은

1) "가격대비 문제수"입니다.

국가에서의 지원을 받아 만드는 문제집이라 그런지 굉장한 두께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만원이 넘지 않는
정말 값이 싼 문제집입니다.

2) "문제질" 입니다.

위에서 제가 가격에 대비해 문제수가 많다고 언급드렸는데,
그렇다고해서 문제의 질이 떨어지는건 "결코" "절대" 아닙니다.
현 외국어 영역에서 나름 고등급을 유지하고있는 저로써 다 푼후 자신있게 말씀드릴수있는것은
"어려운건 아니고 그렇다고 쉬운것도 아니다"라는 결론입니다.
이건 저 뿐만 아니라 문제를 푸신 모든분들께서 공감하실바입니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쉬운문제도 없는것이 아니긴한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합산해봐야 한파트 6~8문제중에 한문제정도로 구성되어있을뿐이며,
모두다 적정수치의 난이도로 고3모의고사 및 수능난이도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지어 말씀드리겠습니다.

수험생이면...사십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