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질서의 기원

사회적 근대화는 친족 기반의 사회관계 붕괴, 그리고 보다 자율적이고개인주의적인 사회관계의 등장을 내용으로 한다. 이는 두 가지 이유로 진나라의 통일 과정에서 나타나지 못했다. 첫째,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발생하지않았으므로 노동 분화가 철저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사회집단과 정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국 사회의 친족 중심성을 허물어뜨리려는 노력은 독재국가에 의해 위로부터의 개혁으로 추진되었다. 서구에서는 이와 달리 기독교가 친족의 굴레를 거둬냈다. 교리적으로도 그렇게 했을 뿐 아니라, 가족 문제 처리와 상속에 대해 교회가 갖는 통제력을 통해서도 그렇게 했다(16장을 보라), 따라서 서구의 사회적 근대화의 뿌리는 근대국가나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등장보다 몇 세기나 앞서 착근된 것이었다.
위로부터의 사회공학은 보통 목표에 미달한다. 중국의 부계 혈통제와 가산제적 정부의 제도 기반은 심각한 타격을 받았으나 파괴되지는 않았다. 이제 보듯, 단명한 진 왕조 이후로 이들은 다시 고개를 들며, 계속해서 국가의권위에 도전하며 중국인의 감성에 호소력을 유지한 채로 이어져간다. -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