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망치고 싶을 때 읽는 책 - 삶에 지친 당신을 위한 피로회복 심리학
이시하라 가즈코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나 도망칠 하루가 필요하다"
 책은 제목 그대로 ‘도망치고 싶을  읽는 책’이다
오랫동안 일을 했던 나에게 많이 와닿았던 말이다. 도망치고 싶다가도 현실을 생각하면 그럴 수 없다. 아마 모두가 그러할 듯이다. 현대인들이라면 현실에서 도망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래서 다들 해외여행을 가던지 쇼핑을 하면서 ‘힐링’을 하는 것이 아닌가. 
저자는 우리의 의식이 크게 ‘타자중심’과 ‘자기중심’으로 나뉜다고 한다. 타자중심은 타인의 기대나  부응에 충족하기 위해 자기의 욕구나 감정을 무시하고 억압해서 자신의 마음을 잃어버린다고한다. 그래서 이책은 보다 자기중심적으로 살기위해 ‘자신의 마음과 마주한다’라는 말을 강조한다.
사람이 오롯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현대인들은 아마 그럴시간이 없을 것 같다. 숨막히는 업무량에 짬만나면 해야되는 스마트폰. 집에서는 그냥 멍하니 쉬기만 바쁠테니..
나만 해도 그렇다. 왠지 나의 마음 스스로를 들여다보는 것은 어색하고, 익숙하지는 않은 행동이다. 하지만 저자는 도망치고 싶다던가, 걱정, 두려움 같은 감정들에 대해 자기의 마음을 잘 들여다 봐야 한다고 한다. ‘그래 내가 지금 두렵구나’ 라고 말이다.

‘해결책은 더이상 인내하거나 회피하지 말고 자신과 마주하는 것이다.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바라보면서 무엇이 힘들고 무엇이 참기 어려운지, 언제 도망치고 싶고 그래서 어떻게 하면 좋은지 자신에게 솔직하게 털어놓자.’


커다란 업무가 산처럼 보인다면 생각을 조금 바꿔보라고 한다. 만약 프리젠테이션이 두렵다면. 하나의 항목씩 세분화한다면 작은일의 연속으로 보인단다. 한단계 한단계씩 해나간다면 어느새 무사히 완수하게 된다.
사회생활에서 제일 힘든 것은 뭘까? 아마도 인간관계 문제일 것이다. 이 세상은 참으로 다양하고 또 특이한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이 책은 ‘모두와 사이좋게’라는 생각이 문제라고 말하며, 각자의 개성을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A안 B안 고르지 못하는 선택장애가 있다면, 고민할 시간에 한가지를 선택해서 그 안에 더 집중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 된다고 한다. 

마무리
이 책의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도망치고 싶다는 마음이 들때는 그 마음을 참지말고 잘 들여다 보라는 것이다. 이런마음이 드는 자신을 나약하다고 질타하지 말고 오히려 그럴수록 자기마음과 마주하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한다.
개인적인 생각은 이 책은 우리나라 사람들 보다는 일본사람들의 성향에 맞춰진 생각이라는 것이 들었다. 일본은 우리나라 보다도 감정표현을 숨기고, 내 생각을 나타내기를 어려워 하는 문화적 특성이 있는 것 같다. 물론 큰 범위에서는 내 마음을 들여다 보라는 것은 와닿는 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