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설계자 - 옥스퍼드대 교수가 전하는 프로젝트 성공의 법칙
벤트 플루비야.댄 가드너 지음, 박영준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로젝트란 단순하게 회사내의 작은 경제경영 프로젝트에서부터 국가적인 차원에서 거대한 프로젝트까지 각양각색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 다양한 프로젝트의 사례들을 통해 패턴을 보여주고 실제 독자의 상황위치에 따른 분석을 제시한다. 앞서말한것처럼 클수도 작을수도 있을 프로젝트들에 대한 속도조절부터 글로벌기업이 일하는 방식에서부터의 배움, 팀의 구성, 궁극적인 핵심목표 등 매우 다양하게 세분화한다. 호프스태터의 법칙, 늘 우리의 예상보다 프로젝트 기간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데드라인이라는게 정해져있지만 결국 그것을 맞춘다는 것은 매우 힘들다는 것이다. 그래서 최상의 시나리오만을 생각하면서 예측하고 프로젝트에 임한다는 것은 사실상 매우 위험한 일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실제 현장에서는 가장 좋은 상황만을 바라면서 프로젝트가 이루어지는 것이 높은 비율이다. 그러길 바라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이다. 



또하나 프로젝트의 특별성이다. 우리 스스로는 우리가 속한 것에 특별성을 부여한다. 그것이 나쁜것이 아니다. 하지만 참조집단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사례처럼 우리가 우리의 프로젝트에서 한발 떨어져서 유사성 있는 다른 프로젝트와 같이 본다면 분명 특별하다고 생각했던 내가 속한 우리의 프로젝트의 차별점이 무엇인지 아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각각의 요소보다 팀조직이 결국 중요하다. 팀의 경험도 무시못할 요소이지만 과연 팀구성원들의 니즈를 얼마나 완벽하게 보완하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인가이다. 공사의 프로젝트인 경우 현장과 소통이 안되는 경우로 인해 시일이 늦어지거나 완성도가 낮아지거나 하는 문제도 장비가 노후하면 즉각 바꾸고 물품이 떨어지면 즉각 보충하고 이런 것에 완벽하게 이루어져야하는데 여기서부터 삐걱되면 프로젝트 자체가 불량의 길을 걷는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