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컨피던스 - 세계적인 뇌과학자가 밝힌 성공의 비밀
이안 로버트슨 지음, 임현경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감은 과연 학습되는 것인가? 타고나는 것인가? 자신감이 지나치면 어떻게 되는 것인가? 대내외활동 사회활동 경제활동에 있어 이 요소는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이 책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의제이다. 하지만 여타 다른 자신감을 다룬 책과는 다르게 신경심리학자이자 뇌과학자의 관점에서 분석된 책이다. 흔히 자신감과 자존감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꽤 많다. 책에서는 자존감이란 과거에 대한 회상이고 자신감이란 미래를 향해 움직이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즉 앞으로 내가 얼마나 성장할 것이고 가치 있어지는 지에 대한 예측이 자신감이다. 자존감이 낮아져서 우울하다거나 자존감이란 단어를 자주 표현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기 마련인데 자존감이 높다고 자신감이 넘친다는 논리가 작용되는 것도 아니고 현재 나쁘다고 자존감이 낮아지는 것은 꼭 일치한다고도 볼 수 없다. 자신감은 사람마다 각자 타고난게 다르다고 믿는 사람들이 꽤 있는것 같다. 하지만 자신감도 학습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다만 변화가 가능하다는 믿음의 전제하에서다. 자신감이라는 것은 학습도 가능하지만 지나칠경우 자기기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허풍으로 발전된다. 우리가 흔히 근자감이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틀린말이 아니라는 것이다. 자신감이라는 요소는 사회 각 전반에 걸쳐 활동하는데 매우 큰 중요한 중심적인 요소이지만 때로는 지나칠경우 자기자각속에 빠져 본인이외에는 모든것이 허술해보일수 있다는 취약점이 있다. 끊임없이 성찰하는 것, 우리 속담에도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넌다는 말처럼 자신감은 미래를 향해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그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성찰하는 신중한 자세 또한 자신감을 갖는것만큼 매우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