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대한 전환 대한민국 산업미래전략 2030 - 한국산업구조 전환의 마스터플랜과 G5 메가프로젝트 제시
한국공학한림원.산업미래전략위원회 지음 / 잇플ITPLE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차산업시대라는 말은 더이상 새로운 단어도 아니고 이제 그 이상을 바라봐야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자동차가 튼튼하고 빠르면 좋다는 시대를 벗어나 차량 내부에 반도체부족으로 생산이 부족할 만큼 소프트웨어의 파워가 그 어느시대보다 강력해지고 있다. 즉 한 두개의 서비스를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해주기 위한 통합장치라고 봐도 될 것이다. 그 선두에는 자율주행이라는 공상영화에나 나오는 기술이 성큼 우리앞에 다가왔다. 그렇다면 책의 2장 제목에도 나왔듯이 제조강국, 조선업부터 자동차, 철강, 반도체등의 기간산업으로 대표되던 우리나라의 구조적 성장틀은 어떻게 전환되어야 할까? 이 책은 아마 전체적인 산업의 거시적관점에서 나아가는 큰 방향과 함께 우리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사실 제조업의 위기다 이런말들이 많지만 제조업 그 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그 이면에는 물론 기계가 인력을 대체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도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이 성장정체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가장 크다고 말을 한다. 우리만 뛰어나고 잘 만들면 되는 시대가 아니다. 세계의 산업구조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인식하고 우리가 선도적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에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정부가 뒷받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력의 교육화 기업들이 스스로 개선 혁신을 일궈나가야한다. 또한 전반적인 세계흐름이 탄소배출과 관련된 기후영향에 큰 위기의식을 느끼고 감축에 동의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기업들도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해서 친환경 소재부품들로 빠르게 재편하고 (비용의 문제가 크게 발생할 수도 있지만)선저젝 제도적 보완조치도 정부가 따라줘야한다. R&D비용을 집행하고 지원하는 과정에서 단지 정부에서 지원하는것에 그치지 않고 같이 상생할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조치가 무엇인지 마치 하나가 되어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