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스타 수술 팀의 영광 가이도 다케루의 메디컬 엔터테인먼트 1
가이도 다케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예담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난 의학 드라마를 좋아한다. 구명병동 24시는 1기부터 3기까지 아주 재미있게 보았고 의학드라마라고 하기는 뭐하지만 시로이카케도 눈물을 펑펑  떨그면서 보았다. 그런 나에게 바티스타 수술 팀의영광은 제목부터 나를 잡아당기고 있는데다가 좋아하는 번역가라서 손에 착 달라붙었다.
이 책이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대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내가 느끼기에는 미스터리라기보다는 엔터테이먼트 소설적인 성격이 더 강했다. 미스터리적 성격은 시라토리가 나오면서 응용심리학 어쩌구저쩌구하면서부터 시작된 것 같고, 다구치 강사를 중심으로 나왔던 앞,중간부분은 코믹적인 요소가 더 강한 것 같다. 작가가 이 글을 쓰고나서 시라토리를 시리즈로 두권을 더 냈다고 작가 소개에 나와 있는데 나에게는 다구치 강사가 더 매력적이다. 시라토리는 응용심리학 어쩌구저쩌구하면서 이해하지 못할말로 이야기하면서 재미를 반감시키고 좀 지루한면마저 느끼게 해주었다. 반면 다구치 강사는 내가 동경하는 생활 그 자체를 하고 있다. 출세에는 신경쓰지 않고 부정수호 외래를 만들어서 하루에 몇 명되지  환자와의 긴 면담을 하고 나머지 시간은 책을 읽으면서 빈둥빈둥 거리는, 만녕강사 다구치의 모습은 내가 꿈꾸는 미래의 모습이다. 시라토리는 요즘 일본 소설의 전형적인 캐릭터를 보여주는 것에 지나지 않나 싶다. 요즘 일본 소설을 읽어보면 특히 이사카 코타로에 나오는 인물들과 너무 비슷하다. 겉보기에는 멀쩡한데 남과는 좀 많이 틀린 생각을 가지고 행동을 한다. 이 인물들은 칠드런의 주인공처럼 그리고 이 바티스타 수술팀의 영광의 시라토리처럼 일본의 대표적인 사회조직인 공무원으로 일하면서 남들이 생각도 못했던 것과 행동으로 옮기지 못했던 것을 행함으로써 웃음을 준다. 앞에서도 말했다 싶이 시라토리가 알수 없는 응용심리학과 분석이론을 되면서 자신의 이론을 피력하는 지루함을 제외하고는 예측 불가능한 행동으로 인해 억지 웃음을 어느정도 짓게 해주는 것은 사실이다.

이 소설에서 인상깊게 느껴진 부분이 세 부분이 있다.

그 하나는

“선생 이름이 교이치라고 하셨죠? 어떤 유래가 있는 겁니까?”
“제 이름 말입니까...?”
“최고가 되어도 겸솜함을 잊지 말라...
대단하다. 최고가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지은 이름이다. 이 부분을 보고 지금부터라도 미래의 태어날 나의 토끼같은 자식들을 위해 이런 이름을 생각해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든다.

그 두번째는
‘은근무례(慇懃無禮)’... 옛 사람들은 뭐라 딱 잘라 표현하기 어려운 것을 한마디로 드러내는 멋진 솜씨가 있다.
그렇다 나도 공감하는 바다. 옛날 사람들은 정말 머리가 좋았던 것 같다. 뭐라 설명하기 애매모호 한 것을 아주 짧은 단어로 표현해 낸다. 그건 한자권인 한국,중국,일본 뿐만 아니라. 영어권에도 속한다. 책이 보편화가 안되어 있었던 만큼 스스로 머리를 굴리는 일이 많아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 세번째는
기류는 주위에 열등감과 질투심을 불러 일으킨다. 이런 놈은 그저 멀찍이 떨어져서 바라보는 게 최고다. 가까이 잇다 보면 결점을 둘춰내고 싶어진다.찾아낼 결점이 없다는 걸 알게 되면 자신의 천박함만 느껴져 자기혐오에 빠지게 된다.
정말 내 마음을 돋보기로 관찰한 것만 같다. 나와 친한 사람 중에 외적인 것으로 봤을 때 나보다 잘난 사람은 없다. 일명 고등학교 때 전교1등을 놓치지 않는 아이와 친해질 계기가 몇 번 있었지만 친해지지 않았다. 아니 친해지지 못했다. 그런 아이가 나와 가까운 곳에 있으면 열등감과 질투심이 일어난다. 열등감과 질투심이 일어난다고 해서 그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내가 공부를 열심히 할 끈기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열등감과 질투심을 불태우면서 가만히 있는다. 이럴 때의 그 아이와는 들리는 소문만 듣고 그저 멀찍이 떨어져서 바라보는게 최고다. 가까이 있다보면 정말 이 책에서 말한대로 결점을 들쳐볼게 없어서 괜시리 자기만 고민하게 된다.
미스터리는 범인 찾기가 재미이다. 요즘의 미스터리는 범인을 미리 제시하고도 미스터리적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 많다. 하지만 이 책은 뭐라고 해야 할까? 미스터리상은 받았다고는 하지만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 감 보다는 현직 의사인 작가의 손에서 빚어낸 대학병원의 풍자를 미스터리 형식을 빌어 나타낸 것 같다는 느끼밍 더 강하게 든다. 의외로 두꺼운 책이었다. 시라토리의 독설이 좀 지루한면도 없지 않아 있었다. 하지만 나의 이상인물인 다구치가 맘에 들었고 곳곳에 보이는 현직 의사이기에 말할수 있는 여러 장치들이 재미를 주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