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어디선가 뜬소문으로 이 책의 판권 가격이 상당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래서 상당히 기대했었다. 하지만 그 기대에는 못 미치지 않나 싶다. 우선 이 책을 보고 나서 느낀 것은 에쿠니 가오리의 마미야 형제의 두남자라는 설정과 그리고 이사카 코타로의 칠드런과 닮았다 라는 느낌을 받은 것이다. 뭐 그건 순전히 내가 느낀 것이고 일본의 아쿠타카와상과 더불어 가장 인정해주는 나오키상 수상작인데 뭔 문제가 있겠나? 단지 일본문학의 흐름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난 그런 흐름을 싫어하지 않는 사람이다.
난 다다와 교텐처럼 느긋느긋한 사람을 좋아한다. 하지만 교텐은 정말이지 최고의 느긋느긋한 사람이다. 말하기 귀찮아서 고등학교 내내 말 안하고, 초등학교 용돈으로 버티는 교텐이라는 인물은 정말이지 느긋느긋하다. 이런 느긋느긋한 두 사람이 심부름센터를 운영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를 보여주고 있는 이 책은 아주 전형적인 일본소설이다.
이 소설에 있는 에피소드 중에 내가 가장 마음에 들었던 에피소드는 유라가 나오는 에피소드였다. 유라는 일본이라는 한 나라로 극한 시킬 거 없이 아이 낳기를 꺼려해 아이를 안 낳거나 아니면 하나만 낳거나 하는 현재의 상황을 아주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한비야의 중국견문록에 나와 있는 것처럼 중국아이들에게, 굳이 국외로 나가지 않아도 식당에서 함부로 떠들어도 혼내지 않는 우리나라 가족의 상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버릇없는 아이가 상당히 있다. 하지만 여기 이 책에서의 유라 처럼 버릇이 없다고는 하지만 어린아이의 근본은 어디가지 않는다.  다다와 교텐 처럼 누군가에게 교화를 받아서 유라의 성격은 점점 변화해 가지 않았는가?? 부모가 안 된다면 제 3자라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수 있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일본어도 잘 모르는 내가 번역자에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첫 에피소드 14페이지에 있는 주인이라는 말. 다다는 남편을 ‘주인’이라고 부르는 여자는 질색이었다. 라고 쓰여져 있는데, 일본어를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라면 이 것을 보고 오해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이 한자그대로 주인이라고 해석했을 경우 역주로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남편을 주인이라고 부름이라는 말을 써놓아야 했다. 물론 요즘 젊은 사람들은 주인이라는 말을 잘 안쓰 긴 하지만 일본  쇼프로를 봐도, 아주 표준어식 말을 쓰는 여성분들, 굳이 말하자면 세간에 교양있고 귀품있다고 알려지는 여성들은 대부분 남편을 가리킬 때 주인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전히 일본드라마를 보면 주인이라는 말은 많이 나온다. 이 것이 안 쓰여져 있는 것이 나에게 한 가지 아쉬움이었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 들었는데.”
교텐이 말했다.
“그건 추락한 적 없는 인간들이나 하는 허울 좋은 말이야. 너도 알지 않냐?”
“글쎄다....”
교텐은 조금 피우다 만 담배를 재떨이에 비벼 끄고 눈을 감았다. 희미하게 웃고 있는 것 같았다.
이부분이 나에게 인상 깊은 것은 왜일까? 아직 사회경험이 없는 나에게 이런 말을 직접적으로 들어본 적은 없었다. 하지만 드라마를 통해서 항상 가장 잘난 듯이 보이는 사람이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 말할 때 위선자처럼 느껴졌기 때문에 이 부분이 가장 와닿는 것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