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학기 밀리언셀러 클럽 63
기리노 나쓰오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여태까지 기리노 나쓰오의 소설을 네 가지 읽었다. 암보스문도스, 아임소리마마, 아웃, 잔학기 순으로, 이것을 다시 재미 순으로 나열하라면 나는 암보스문도스, 잔학기, 아임소리마마, 아웃 순으로 하겠다. 지금부터 내가 관여할 책은 그 두 번째인 잔학기이다.
맨 처음 읽기 시작했을 때 느낌은 암보스문도스의 비슷하지 않나? 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책을 덮고 나니 처음만이 아니었다. 마지막에 책장을 덮으면서 무언가 뒤에 남는 찝찝함도 비슷했다. 난 왜인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자기만족이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납득이 갔다.
우선 첫 번째는 암보스문도스를 읽을 때도 느꼈던 것이지만, 암보스문도스의 단편은 작가가 등장인물이거나 아니면 작가의 주변인물일 수 있는 편집자에 관련된 이야기가 많았다. 이 책 또한 기리노 나쓰오라는 작가가 써낸 소설 속에 작가가 써낸 이야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암보스문도스 에서도 느꼈듯이 작가라는 사람에 의해 한번에 여과된 것이 아닌 이중의 작가가 두 번에 의해서 여과되어서 비슷한 느낌을 가지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두 번째는 암보스문도스의 맨 마지막 단편 암보스문도스이다. 암보스문도스의 주요 인물은 불륜을 저지른 두 교사이다. 간통이란 우리나라에서는 죄가 되지만 일본에서는 간통은 법정에서 다루게 되지 않게 되었다. 즉 일본에서는 도덕적인 것에 위반되기는 하지만 법적으로 다루어지지 않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법적으로 다뤄져서 처분을 받는 것이다. 두 나라간의 차이에서 오는 것들 즉 한쪽에서 볼 때는 범죄가 되지만 또 다른 한쪽에서 볼 때는 범죄는 아니지만 도덕적인 면에서 위배되는 것이 이 잔학기와 닮았다.
잔학기 에서의 겐지는 누가 뭐래도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다. 하지만 이 책의 본편에서도 잠깐 나오지만 나루미는 겐지와 밤에는 좋은 관계를 갖고 있었고 마지막 미야사카가 덧붙인 말을 보았을 때 나루미와 겐지는 사랑하는 관계였다. 즉 외부사람이 보았을 때, 그리고 결과가 만들어지도록 만든 원인은 범죄이지만 나루미와 겐지 당사자들만이 외부적인 것을 제외하고 보았을 때 이들의 사랑은 범죄가 되지 않고 단순히 도덕적으로 위배되는 것이 되는 것이다.
즉, 두 작품 다 보는 사람들, 알지 모르고 보면 다른 이중성을 내포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성적인 사람이다. 잔학기의 본편에서도 나루미는 성적인 사람이라는 표현을 몇 번 쓴다. 이것이 너무 확장했을 수 도 있지만 암보스문도스의 사랑의 섬에 나오코와 쓰루코를도 이 성적인 사람에 해당하지 않나 싶다. 마음속에 있는 성적인 욕구를 쏟아버리고 싶은 사람 그 사람들이 성적인 사람이고 나오코는 아버지와의 관계를 통해 쓰루코는 노예생활을 통해 그리고 나루키는 밤의 꿈을 자신의 글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 아닌 가 싶다.
지금까지가 내가 느낀 암보스문도스와 잔학기의 분모였다. 작가는 또 다른 작품에 분모를 아래에 놓고 분자를 계속 만들어 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난 그것이 좋다. 종합해서 느껴보면 비슷하지만 또 분리시켜보면 전혀 색다른 맛을 내는 글을 쓰는 기리노 나쓰오라는 작가가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좋아졌다는 것을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